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분석262

변혁과 진작: 중국 역대왕조의 개국63년 글: 설이(雪珥) 곤곤장강동서수(滾滾長江東逝水) 도도한 장강은 동쪽으로 흘러가고 낭화도진영웅(浪花淘盡英雄) 물결처럼 일었다 사라지는 영웅들 시비성패전두공(是非成敗轉頭空) 시비와 성패는 모두 헛된 일이 되고 청산의구재(靑山依久在) 푸른 산은 옛 그대로인데 기도석양홍(幾度.. 2012. 10. 1.
정통(政統)과 도통(道統) 작자: 미상 중국전통문화중에 정통은 군왕(君王)을 대표로 하며, 황제가 세속권력의 합법성을 보유하였다는 것을 표명한다. 도통은 독서인(讀書人)이 맡으며, 도덕표준과 정신가치를 담당한다. 만일 정통이 정권을 대표한다고 말한다면, 도통이 대표하는 것은 발언권이다. 가장 먼저 도.. 2012. 9. 19.
금가(禁街)와 침가(侵街): 관청과 백성의 도시공간쟁탈전 글: 북경청년보 당나라때 장안(長安)에서부터 북송의 개봉(開封)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대도시는 방시제(坊市制)에서 가시제(街市制)로 바뀌었다. 이 배후에는 관청이 금가와 백성의 침가가 있다. 즉 관과 민의 도시공간쟁탈전이 하나하나 벌어진 것이다.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관.. 2012. 2. 2.
식량(食糧): 진정한 역사의 조타수 글: 왕효명(王曉明) 이런 말이 있다. '백성들은 먹는 것을 하늘로 삼는다(民以食爲天)". 중화대지의 양식을 이해하여야 우리는 비로소 중국의 고대역사를 이해할 수 있다. 양식이 있어야 사람은 생존을 위한 조건을 갖추는 것이다. 사람이 생존해야 경제가 발전할 수 있고, 세금을 .. 2012. 1. 30.
권(圈) 글: 왕립군(王立群) 모든 사람은 이 세상에서 살아가는대 태어나면서부터 가진 권(圈)이 있다. 이 태어나면서 가진 '권(圈)'은 각자의 부모, 가족으로 결정된다. 한 사람이 이 태생적인 '권'에 대하여 이론적으로는 두 가지 태도가 있을 수 있다. 첫째는 이 태생적인 권을 유지하는 .. 2012. 1. 28.
중국역사상 아들의 처를 빼앗은 제왕은? 글: 사지동(謝志東) 아들의 처를 빼앗은 제왕이라고 하면, 아마 바로 당현종 이융기(李隆基)를 떠올릴 것이다. 양귀비(楊貴妃)는 원래 그의 아들인 수왕(壽王) 이모(李瑁)의 비(妃)였다. 나중에 백거이(白居易) 선생은 <장한가(長恨歌)>를 써서 이 일을 심금을 울리는 사랑의 이.. 2012.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