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무측천) 39

무측천(武則天) 사후, 무씨일족의 최후는 어떠했을까?

글: 심근배조(尋根拜祖) 무씨일족은 원래 후손이 번성한 부유한 상인가족이었다. 무측천이 황후에 오른 후, 무씨일족은 계견승천(鷄犬昇天)한다. 무측천이 사망하면서(705년), 무씨일족은 모래사장에서 벌거벗고 수영하는 사람들처럼 '바닷물의 엄호를 잃은 그들은 즉시 사람들의 표적이 된다' 한때 무씨일족은 작점짐소(雀占鴆巢)하여 이당(李唐)강산을 찬탈한다. 그후 십여년에 걸친 '용상보위전'에서 이당종실을 포함하여 수만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는다. 그렇다면, 죄괴화수(罪魁禍首)인 무씨일족의 최후는 어떻게 되었을까? 무씨가족의 족보도를 보면, 무측천의 부친대는 형제가 4명이다. 즉 무사릉(武士棱), 무사일(武士逸), 무사양(武士讓), 무사확(武士彠)이다. 그중 무사확이 무측천의 부친이다. 우리는 영향력이 비교적 컸던..

해독이 어려운 건릉(乾陵)의 무자비(無字碑)

글: 중원수장대강당(中原收藏大講堂) 섬서에 위치한 건릉은 당고종 이치와 여황 무측천이 묻혀 있다. 그래서 중국역대제왕릉중 유일하게 두 황제가 합장된 묘이다. 능원내성 주작문밖의 사마도 서쪽에 당고종 이치의 문치무공을 칭송하는 공덕비인 "술성기비(述聖記碑)"가 세워져 있다. 그런데 동쪽에 나란히 서 있는 비는 바로 그 유명한 "무자비"이다. "무자비"는 완전한 거석을 조각해서 만들었다. 높이는 7.53미터, 너비는 2.1미터, 두께는 1.49미터, 총중량은 98.84톤에 달한다. 비의 윗쪽에는 8마리의 용이 서로 얽혀 있는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 비신(碑身)의 양측에는 '승룡도(昇龍圖)'가 새겨져 있다. 용의 몸은 튼튼하고, 자태는 신선처럼 표일하다. 전체적으로 비는 웅혼하고 조각도 정교하여 황실의 위엄을..

이경업(李敬業)의 무측천(武則天) 토벌은 왜 용두사미(龍頭蛇尾)가 되었을까?

글: 엽서도(獵書徒) 이경업(636-684), 일명 서경업(徐敬業). 조주(曹州) 이호(離狐) (지금의 山東 荷澤) 사람. 당나라의 관리, 장수. 개국공신인 사공(司空) 이세적(李世積)의 손자. 재주자사(梓州刺史) 이진(李震)의 아들. 부친이 일찍 사망하였기 때문에, 직접 조부로부터 영국공(英國公)의 작위를 승계하였다. 무측천이 당중종을 폐위시켜 여릉왕(廬陵王)으로 격하시키고, 이단(李旦)을 황제로 세웠다. 그후 이단은 글을 올려 사임을 청하고, 무측천이 임조칭제(臨朝稱制)하게 된다. 684년 구월, 이경업은 동생 이경유(李敬猶), 당지기(唐之奇), 두구인(杜求仁), 낙빈왕(駱賓王)등과 함께 양주(揚州)에서 거병한다. 이경업은 스스로 광복부대장군(匡復府大將軍), 영양주대도독(領揚州大都督)을 칭하며, 근왕..

당나라때 사람들은 "무측천시대"를 언제부터 언제까지로 보았는가?

글: 독사품생활(讀史品生活) 모두 아는 바와 같이, 무측천의 인생궤적은 여러 중요한 시간들이 있었다. 638년 입궁하고, 649년 감업사로 출가하였으며, 655년 황후에 오르고, 674년 천후(天后)에 올랐으며, 다시 683년 임조칭제(臨朝稱制)하고, 690년에는 처음으로 황제를 칭한다....이렇게 말할 ..

무측천은 하야후에 어떻게 여생을 보냈을까?

글: 두문자(杜文子) 무측천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몸도 갈수록 허약해졌다. 신룡원년에 무측천은 이미 병으로 침상에 누워서 일어나질 못했다. 오랫동안 병을 앓아서, 무측천의 모든 것이 귀찮아 아예 아무도 만나지 않는다. 그저 장역지(張易之), 장창종(張昌宗) 형제만이 그녀를 곁에서 ..

무측천 사후에 무씨집안사람들은 어떻게 되었는가?

글: 자야비설2013(子夜飛雪2013)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무측천이 죽은 후, 무씨가족이라는 이 왕조를 뒤집어엎으려 했던 가족은 바로 멸문을 당했을 것이라고. 그러나, 역사는 가끔 예측불허이다. 사실상 이당황실이 복위한 후, 무씨가족은 여전히 잘 나갔다. 이씨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