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661

냉매(冷枚): 강희, 건륭이 좋아한 청나라 궁정화가 글: 중국국가역사(中國國家歷史)​강희27년경, 스승 초병정(焦秉貞)의 소개로 산동(山東) 교주(膠州)의 '소진작화가(小鎭作畵家) 냉매는 내정(內廷)으로 들어가 강건성세(康乾盛世)에 궁정화가로서의 생애를 보내게 된다.​먼저 중요하게 보아야 할 점은 강(康)과 건(乾)이라는 것이다. 강희제와 건륭제는 두 조손은 마치 묵계라고 있듯이, 이 화가를 좋아했다. 그러나 옹정(雍正)은 아니었다.​초병정의 안목은 아주 뛰어났다. 강희제때 제자 냉매가 뛰어난 활약을 보이면서 스승의 얼굴에도 금칠을 하게 된다.​강희30년부터, 20세가량의 냉매는 자신의 직업생애의 상승기를 맞이한다. 강희제의 여러 인생사건에 그는 모두 참여한다. 예를 들어:​강희제의 남순(南巡)에 냉매는 참여하여 '청초화성(淸初畵聖)' 왕휘(王翬)가 주도.. 2025. 1. 9.
도교(道敎)의 4대 교파(敎派) 글: 호설유취적역사(胡說有趣的歷史)​도교는 중국의 토종 종교로, 찬란한 명주처럼 화하대지를 1800여년간 비추었다. 그것은 "도(道)"를 핵심신앙으로 하여, 노자(老子)를 도조(道祖)로 모시고, 을 신성한 경전으로 보았다. 원시귀신숭배와 도가황노사상을 받아들여 여러 독특한 문파로 발전한다. 저명한 문파로는 4개가 있다. 정일도(正一道), 신소파(神霄派), 전진파(全眞派)와 정명파(淨明派).​정일도(正一道): 연원이 심후한 도교의 정통​정일도의 "정일"은 정일맹위지도(正一盟威之道)이며, 동한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사회가 혼란에 빠져 있었고, 사람들은 정신을 의탁할 것에 대한 갈망이 갈수록 강해졌다. 장도릉(張道陵) 천사(天師)라는 극히 전설적인 색채를 지닌 인물이 나타난다. 그는 자질이 총명했고, 세간.. 2024. 12. 15.
현대한어의 70%는 일본에서 왔다. 글: 여천(旅泉)​현대한어 속에 70%에 달하는 단어는 일본제이다.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중국인들이 매일 입을 열어 얘기를 하거나, 붓을 들어 글을 쓰게 되면 그것은 바로 일제를 쓰는 것이다.​예를 들어, 과학, 간부, 사회주의, 시장, 인권, 특권, 배경, 화석, 환경, 예술, 의학, 교류, 부정, 긍정, 가설, 고조, 해방, 공급, 설명, 방법, 공동, 계급, 공개, 희망, 법률, 활동, 명령, 실종, 투자, 항의, 화장품, 은행, 공간, 경찰, 경기, 경험, 경제공황, 현실, 원소, 건축, 잡지, 국제, 시간, 시장, 실연, 종교, 집단, 신문기자, 단백질, 추상, 통화팽창, 전자, 전보, 전화, 전염병, 도서관, 비극, 부인, 무대, 밀월, 본질, 무산계급, 영해, 영공, 영토, 냉전, 논단, .. 2024. 12. 1.
고대 중국인이 직면한 논리문제: 모순(矛盾), 백마비마(白馬非馬)와 혁명(革命) 글: 삼사오대(饞師五代)​1​왕파매과(王婆賣瓜) 자매자과(自賣自誇). 왕파가 오이를 팔면서 자기 것이 제일 맛있다고 자화자찬한다. 기실 그 누구도 예외가 아니다.​국어선생님은 국어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국어를 모르면 문제조차 볼 수 없으니, 답은 적을 수 없다고 한다; 수학선생님은 수학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수학을 모르면 현대문맹이라고 한다; 물리선생은 물리를 배우면 천하를 돌아다녀도 겁날 것이 없다고 말한다.​학생들에게 과목을 설명할 때 이렇게 말한다: 모든 문제는 언어문제이다. 언어는 인류의 가장 위대한 발명이다. 매 학기바다 사실상 어느 분야의 언어는 그 분야의 언어를 써서, 그 분야의 이야기를 한다. 수학은 수의 언어이고, 물리는 힘의 언어이며,화학은 분자의 언어이다. 등등.​그러나, .. 2024. 10. 17.
중국과 영국의 역사상 서로 다른 관념 글: 시화(施化)​옛사람들은 이렇게 말했다. 역사를 귀감으로 삼아야 한다(以史爲鑒). 단지 분명하게 말하지 않을 뿐이다. 도대체 어느 나라의 역사를 귀감으로 삼아야 하는지. 아마도 암중으로 모든 국가의 역사를 가리키는 것인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중문교과서에서는 일반적으로 본국의 역사를 가리킨다. 귀감은 거울이고, 고대인들은 동경(銅鏡)을 사용했다. 그래서 감(鑒)에 금(金)이 들어 있다. 거울에 비추어보는 주요목적은 자신의 얼굴에 묻은 오점을 발견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더욱 완벽한 이미지와 비교하여 개선할 여지를 찾는 것이다. 만일 대상이 자기 자신만이라면 확실히 부족하다. 아마도 오점을 찾지 못하면 그냥 아름답다고 여길 수 있다. 세계는 이렇게 크고, 동서방 각국은 서로 다른 역사를 가지.. 2024. 10. 15.
"중(中)": 염석산(閻錫山)의 간명철학 글: 시화(施化)​꼬박 100년전인 1924년 5월 21일, 인도의 시인 타고르가 중국시인 서지마(徐志摩)의 안내로 산서(山西) 태원독군부(太原督軍府)에서 당시 산서독군, 산서성장을 맡고 있던 염석산을 만난다. 이때 시인과 군벌간의 재미있는 대화가 기록으로 남아 있다. ​타고르: 염선생, 동방문화는 무엇입니까?염석산: 동방문화는 바로 "중(中)" 한 글자입니다.​이 "중"자에 대하여 염석산은 자신의 독특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중"을 생명력을 지닌 하나의 씨(種子)로 비유해서 모든 사람의 마음 속에 들어 있다고 보았다. 그것은 생명력을 가지고, 스스로 싹을 틔우고 꽃을 피우는 것이다. 우주간의 조화를 바로 이 씨가 장악하고 있다. 만일 만물의 씨를 뽑아낸다면, 지구는 메말라버리게 될 것이다.​무.. 2024. 1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