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문혁후)92

전백찬(翦伯贊) 자살의 진상 글: 장이화(章詒和)​1952년, 대학교 조정과정에서, 정천정(鄭天挺)이 남개대학(南開大學)으로 옮겨갔고, 청화대학(淸華大學) 역사학과의 최원로교수인 뇌해종(雷海宗) 교수도 남개대학으로 옮겨갔다. 정천정을 대신하여 북경대학(北京大學) 역사학과 주임이 된 사람은 다른 사람이 아닌 바로 전백찬(翦伯贊)이었다. ​전백찬의 오랜 친구인 부친(章伯鈞)은 매우 기뻐했다. 다만 동시에 정천정에 대해서는 안타까워하면서 모친(李健生)에게 이렇게 말했다:​"정천정은 20년대부터 북경대학에서 교수를 지냈다. 30년대에는 북경대학 비서장(秘書長)을 지낸다. 항전승리때도 역시 북경대학 비서장이었으며 사학과 주임도 겸직하고 있었다. 사학의 실력은 전백찬보다 뛰어났다. 그러나 남개대학의 학술환경이 어찌 북경대학과 비교할 수 있겠는.. 2025. 3. 20.
당대중국의 팔대 "한간(漢奸)" 글: 작가양문산(作家楊文山)​펑웨이(馮瑋): "남경대학살은 오살(誤殺)이다"​​푸단대학(復旦大學) 교수인 펑웨이의 이야기가 한간(매국노)논쟁의 서막을 연다. 그의 한차례 공개활동에서 이런 말을 했다: "남경대학살은 오살이다." 이를 통해 1937년 12월 일본군이 남경을 점령한 후 6주에 걸쳐 30만중국군민의 목숨을 빼앗은 폭행을 고의사건이 아닌 것으로 간단히 치부해버렸다.​역사기록은 이에 대해 명확히 기록하고 있다: 일본군은 남경에서 조직적으로 학살했다. 일본군장교 이즈마 시로(東史郞)의 일기에 상세히 살륙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국제안전구역 책임자임 욘 라베도 목격보고를 남겼다. 그외에 1946년 극동국제군사법정은 남경대학살을 전쟁범죄로 규정하고, 주범인 마쓰이 이와네(松井石根)를 사형에 처한다.​펑웨.. 2025. 3. 19.
왕치산(王岐山): 국민당장교의 아들인 그는 어떻게 태자당이 되었나? 글: 두정(杜政)​10월 12일, 대륙의 대외선(大外宣)기능을 지닌 홍콩화통사(和通社)는 전 국가부주석 왕치산이 체포되었고, 그의 애인인 판빙빙은 미국에 7천여억달러의 예금을 가지고 있다고 폭로했다. 또한 왕치산의 처남으로 전 중공부총리, 정치국상이 야오이린(姚依林)의 아들 야오칭(姚慶)이 2년전에 체포되었고, 왕치산의 몰수된 자산이 수조위안에 달한다는 등등의 내용도 있었다.​인터넷을 검색해보면, 화통사는 유엔경제사회국(UNDESA) 글로벌포럼 대변인사무실의 대외관방매체로 나온다. 그리고 그 산하의 은 "홍콩화통사가 주관하는 아시아에서 영향력이 아주 큰 저명한 매체로 전국양회를 취재하는 정기간행물"이라고 되어 있다.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친중국으로 '시진핑경제사상'를 치켜세추고, 중공의 전국'양회'를 .. 2024. 10. 20.
친셩샹(秦生祥): 시진핑의 심복으로 볼 수 있는가? 글: 호해(胡亥)​해외여론은 중공정치사건과 인물에 대하여 토론할 때, 자주 역사배경을 무시하고 마음대로 해석하여, "관공전진경(關公戰秦瓊, 관우는 삼국시대인물이고, 진경은 당나라때 인물이어서 싸울 수가 없음)"같은 오판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최근 전 해군정위(海軍政委) 친셩샹(秦生祥)이 잡혀가서 조사받는다는 소문과 관련하여, 해외매체는 보편적으로 친셩샹이 시진핑이 발탁한 심복측근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이건 분명히 잘못된 인식이다. 사실상, 친셩샹은 시진핑의 적계(嫡係)가 아니로, 장쩌민(江澤民)의 심복인 자팅안(賈廷安)의 수하이다. ​친셩샹은 일찌기 북경군구 부정위 차오허칭(曹和慶)의 비서를 지냈고, 이어서 38군사정위(38軍師政委), 북경군구 정치부 조직부장등의 직을 맡는다. 그후 총정치.. 2024. 10. 9.
후춘화(胡春華)의 재등장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글: 이정요(李淨瑤)​전 중공황태자이자 후진타오(胡錦濤)의 격대지정후계자인 후춘화가 최근 들어 자신만만하게 나타나서 내몽골을 시찰하여 사람들의 주목을 끌었다. 어떤 사람은 이렇게 분석한다: 후춘화가 이렇게 자신만만하게 "내가 돌아왔다"고 드러내는 것은 강력하게 복귀했다는 것이라고. 또 어떤 사람은 다르게 분석한다. 후춘화가 재등장한 것은 분명 왕후닝(王滬寧)의 음모일 것이라고.​중국의 관영매체보도에 따르면, 9월 9일부터 13일까지, 전국정협 부주석 후춘화는 전국정협농업및농촌위원회 특별시찰단을 이끌고 내몽골을 시찰했다.​9월 9일, 내몽골자치구당위서기 쑨샤오핑(孫紹騁), 자치구당위부서기, 자치구인민정부주석 왕리샤(王莉霞), 자치구정협주석 장얜쿤(張延昆)이 후허하오터에서 후춘화를 맞이한다. ​해외의 시사평.. 2024. 9. 26.
송빈빈(宋彬彬) 배후의 인물들.... 글: 원릉(袁凌)​송빈빈, 그녀는 문화대혁명기간동안 송요무(宋要武)라는 이름을 사용하였으며, 중국공산당의 원로 송임궁(宋任窮)의 딸이다. 문혁기간 저명한 홍위병으로 북경의 "홍팔월(紅八月)"기간동안 모택동에게 홍수장(紅袖章)을 채워주는 사진때문에 전국에 이름을 떨치게 된다. 문혁기간 북경사범대학부속여자중학교의 홍위병 지도자였으며, 2024년 9월 16일 77세의 나이로 사망한다.​송빈빈 배후의 사람을 알아야, 비로소 문혁배경하의 송빈빈의 죄와 벌을 알 수 있다.​1966년 8월 18일, 송빈빈은 천안문 성루에 올라 위대한 지도자 모택동의 팔에 수장을 채워주었고, 모택동이 "빈빈은 문질빈빈(文質彬彬)의 그 빈이냐"고 묻고, 그렇다고 대답하자, "무가 필요하다(要武嘛)"고 말하자 그녀는 그후 이름을 "송요무.. 2024.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