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朝), 대(代), 국(國): 왜 남북조(南北朝), 오대(五代), 삼국(三國)이라고 서로 다르게 부를까?
글: 회하선생(淮下先生)조(朝)와 대(代)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남북조(南北朝)는 왜 남북대(南北代)라고 부르지 않을까? 오대(五代)는 왜 오조(五朝)라고 부르지 않을까? 그리고, 삼국(三國)은 왜 국(國)이라고만 부를까?먼저, "조(朝)"부터 설명하기로 하자. 글자 그대로 조(朝)에는 조배(朝拜), 조견(朝見), 조향(朝向)의 뜻이 있다. 이건 공간(空間)상의 개념이다. 내부적으로 신하가 황제를 조견한다. 외부적으로 소국이 대국을 조견한다.그래서, 내부적으로 우리는 신하가 어느 황제를 조견할 때, 그 황제의 재위시기의 통치단계를 일조(一朝)라고 부른다. 우리는 이를 하나의 소조(小朝)라고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무조(洪武朝), 영락조(永樂朝), 강희조(康熙朝), 옹정조(雍正朝), 건륭조..
2024. 12. 16.
송,요,금(宋,遼,金): 누가 화하(華夏)의 정통(正統)인가? (2)
글: 장하비연(長河飛煙) 원나라의 송요금 정통지쟁(正統之爭)에 대한 입장원나라에 이르러, 송요금정통지쟁이 다시 파란을 불러온다. 이 논쟁은 주로 송요금삼사(宋遼金三史)를 편찬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문제에서 시작된다.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중국고대사학의 전통관념에 따르면 한 왕조가 전왕조의 역사를 편찬하는 것은 왕왕 왕전왕조에 대해 정통성을 인정하고, 본왕조가 전왕조의 법통을 계승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원나라는 표면적으로 보자면 사서편찬을 두고 논쟁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송요금중 누가 진정한 정통인지를 다투는 것이었다.원세조 쿠빌라이시기부터, 조정은 송,요,금 세왕조의 사서를 편찬하도록 지시한다. 나중의 원성종, 원영종, 원문종도 여러번 조서를 내린다. 다만 최종..
2024.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