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지방288

홍콩의 젊은이들은 우울하다.... 글: 임보화(林保華)​3월 20일은 세계행복의 날이다. 옥스포드대학이 유엔의 SDSN(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s)와 공동으로 세계행복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전세계 147개국가 및 지구가운데 핀란드가 8년연속 1위를 차지했고, 아프가니스탄이 4년연속 꼴찌를 지켰다. 보고서에서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각지 주민의 행복감을 3년평균치로 랭킹을 정했는데, 북유럽국가인 핀란드, 덴마크, 아이슬란드, 스웨덴이 4위까지를 독차지했다. 아시아에서 가장 랭킹이 높은 곳은 타이완으로 27위이다. 그 다음은 싱가포르와 베트남으로 각각 34위와 46위이다. 중국은 68위이다. 이웃한 일본, 태국보다 낮았다. 홍콩은 88위로 랭킹이 4년연속 하락했으며 2012년 관련랭킹을.. 2025. 5. 9.
평요고성(平遙古城)의 역사유래 글: 천유여이보부족(天有餘而補不足)출토된 문물을 보면, 일찌기 신석기시대부터 평요(平遙)에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이곳은 일찌기 제요(帝堯)의 봉지(封地)였으며, 그리하여 이곳 고도지(古陶地)로 불린다.​평요고성은 서주선왕(西周宣王)시기(기원전827-기원전782)부터 건설되기 시작했다. 에 따르면, "주선왕때 윤길보(尹吉甫)가 검유(撿猶)를 북벌하면서 병력을 이곳에 주둔시켰다". 성원(城垣)은 항토(夯土)로 쌓았으며, 지금의 평요성의 서북쪽 6킬로미터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금으로부터 이미 2,700여년의 역사를 지녔다. ​서한(西漢)때 한문제(漢文帝) 유항(劉恒, 기원전179-기원전157)이 대왕(代王)으로 있을 때, 일찌기 중도(中都)를 도성으로 삼았다(지금의 평요이다). ​남북.. 2025. 3. 16.
리카싱(李嘉誠)이 내보낸 불길한 신호.... 글: dawson​중국의 상인들 가운데, 정치적 후각(嗅覺)을 따지자면 역시 리카싱(李嘉誠, 리자청)이다. 무슨 마윈이라든지, 왕젠린이라든지, 류촨즈라든지 하는 사람들은 모두 리카싱과는 장안가 8개의 거리만큼 차이가 있다. 리카싱의 거동은 그의 관찰과 판단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우리는 거기에서 내보내는 신호를 볼 수 있는 것이다. ​2025년 3월 4일, 중국국내에서 양회를 준비하고 있을 때, 전세계의 눈길은 리카싱에게 향한다. 그는 조용하게 큰 일을 하나 벌였다:​228억달러의 가격으로 BlackRock을 위시한 컨소시엄에 전세계 43개 항구자산을 매각했다. 거기에는 파나마운하 양쪽의 전략항구도 포함된다.​이 시기는 아주 교묘하다. 이전에 트럼프는 막 젤렌스키와 말싸움을 벌였고, 더 이전에는 트럼프가 .. 2025. 3. 12.
천안문(天安門)에 화상(畵像)이 걸려있던 12명은 누구일까? 글: 천지(天地)​천안문은 베이징시 중축선(中軸線)과 장안가(長安街)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고, 명청 황성(皇城)의 정남문(正南門)이다.​명나라 영락15년(1417년), 천안문은 건축되기 시작했고, 높이는 34.7미터, 부지면적은 4,800만평방미터이다. 천안문 성루의 기세는 거대하여, 중국전통건축예술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천안문의 정중문동(正中門洞)의 위에는 모택동(毛澤東)의 화상이 걸려 있다. 양측에는 각각 "중화인민공화국만세"와 "세계인민대단결만세"라는 표어가 걸려 있다. ​민국시기에 천안문광장을 만들었고, 천안문광장은 남북으로 길이가 880미터, 동서로 너비가 550미터이며, 면적은 44만평방미터에 달하는 대형광장이고, 세계최대의 도시광장이다.​천안문의 성루에는 모두 12명의 화상이 .. 2025. 2. 17.
상하이: 3위 경제도시로 전락하는가? 글: 박문재경(博聞財經)​상하이는 아마도 몇년후에는 중국에서 3위경제도시로 전락하여, 베이징과 선전에 추월당할 것같다.왜 이렇게 말하는가? 그것은 상하이가 과학기술혁신에서 낙후되었기 때문이다.최근, 각지의 2023년의 R&D수치가 공표되었다. R&D비용은 국제일반기준에 따라 과학기술연구개발에 투입한 경비를 말하며, 상하이는 처음으로 선전에 추월당해 전국3위가 되었다.위의 도표는 2023년 과학기술연구개발경비투입이 가장 많은 20개 도시의 수치이다. 투입이 가장 많은 도시는 베이징으로 2,950억위안에 가깝다. 5년간 58%가 증가했다. 선전은 2,200여억위안으로 5년간 92%가 증가했다. 그러나 상하이는 2,050억위안으로 5년간 51%가 증가했다.​상하이가 최근 5년동안 과학기술연구개발에 투입하는 증.. 2024. 11. 27.
베이징에서 나타나는 외국인관련 3가지 현상 글: 화성굉관(火星宏觀)​베이징을 국제혁신중심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의 마지막 기한이 겨우 1년밖에 남지 않았는데, 오랫동안 베이징에서 생활하고 일해오던 외국인들은 10년전보다 40%가 줄어들었다. 중국에서는 영구거주계획에 따라 매년 900장이 되지 않는 그린카드를 발급하고 있는데, 미국은 매년 120만장의 그린카드와 150만장의 취업비자를 내주고 있다. 팬데믹이 끝난 후, 많은 외국인들이 떠나고 있고, 글로벌HQ와 중국업무간의 연결도 점점 위축되고 있다.​외국인수가 10년전보다 40%가 줄어들다.11월 3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라는 글에서, 베이징을 국제혁신중심으로 만들 최후기간이 겨우 1년 남은 상황에서, 장기적으로 중국수도에 거주하고 일하는 외국인은 겨우 22,000명으로 10년전의 37,000명과.. 2024.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