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분석262

누란고성(樓蘭古城)이 사라진 이유는? 글: 문재봉(文裁縫) 1900년 3월 27일, 저녁 타클라마칸사막. 한 백인노인은 몇 명의 가이드와 몇 마리의 낙타를 타고 천천히 가고 있었다. 석양의 아래, 그들의 그림자는 길고도 길게 늘어졌다. 고탑리목하의 강물을 따라, 그들은 행방이 묘연한 로프노르(Lop Nor, 羅布泊)호수를 찾고 있었다. .. 2013. 4. 13.
중국고대인들의 봄놀이(春遊)는 어떠하였는가? 글: 예방육(倪方六) 양춘삼월, 풍화일려(風和日麗). 바깥나들이하기 좋은 계절이다. 야외나들이는 단거리여행에 속한다. 나가는 계절에 따라 춘유와 추유의 구분이 있다. 다만 춘유가 더욱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다. 고대인들은 야외로 나가서 무엇을 하고 어떻게 놀았을까? 서로 다른 시.. 2013. 4. 13.
황제와 연단(煉丹) 글: 상한(桑寒) 이것은 무슨 논픽션소설이 아니다. 중국고대의 일부 제왕들도 수도(修道)를 했다. 자신이 지고무상이라고 생각하였으나, 귀문관으로 가고 싶어하지는 않았다. 수도를 하여 신선이 되는 술법을 선택하였고, 장생불사의 약을 힘들게 찾아다녔다. 무슨 원영(元嬰), 도겁(.. 2013. 4. 13.
환관과 문관: 서로 다른 탐욕 글: 자작자애2 명나라때의 태감(환관)은 일반적으로 모두 보잘 것없는 집안 출신이다. 신세배경이 간단한데다, 집안을 이을 후계자도 없다. 그래서 그들의 영향력과 기반은 문관들과 비교할 수가 없다. 그들의 부정부패수단은 비교적 간단하고 직접적이다. 일반적으로 접대를 받고, 돈을 .. 2013. 4. 13.
중국 해군(海軍)의 역사 글: 중국해양보 중국고대에 수상부대를 주사(舟師), 수군(水軍) 혹은 수사(水師)로 불렀다. 곽말약(郭沫若)이 주편한 <중국사고>에 따르면, 상(商)나라 후기, 상왕 무정(武丁)은 일찌기 사람을 배에 태워서 해상으로 도망친 노예를 추격하여 붙잡게 하였다고 한다. 나중에, 선박의 품질.. 2013. 2. 4.
한본위(漢本位): 중국의 국세가 날로 쇠락한 근본원인 글: 곽상학(郭翔鶴) 오늘의 중국을 보면, 중국인의 두뇌는 이미 서양인들에게 심각하게 영향을 받았다. 그래서 한본위의 각도에서 문제를 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 글을 시작하면서 성경에 나오는 바벨탑이야기를 인용하고, 민족차이가 인류사회를 발전시키는 근본동력이라는 것을 분.. 2013.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