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청 후기)88

청나라말기 삼대명기(三大名妓)의 사진... 글: 천류취담(川流趣談)​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옛날 사진들에 대한 복원기술도 점차 완비되고 있다. 옛날 사진들을 하나하나 복원함으로써, 우리는 근대사회의 진면목을 엿볼 수 있다. ​청나라말기의 삼대명기(三大名妓)의 사진이 공개되었다. 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속속 현재의 기준으로 보더라도 미인이라는 평론을 남긴다. 여러가지 원인으로 그녀들은 기녀가 되었는데, 그녀들의 배후에 어떤 이야기가 있을까?​창기(娼妓)의 기원에 대하여는 7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쟁이 계속되고 동란이 거듭되는 시대에 자연자원이 비교적 적어, 각 나라들은 앞다투어 인문과 경제를 차지하기 위해 싸웠다.​그 이름도 유명한 관중(管仲)은 경제정책 하나로 인해 창기의 조사야(祖師爺)로 받들어지게 된다. 그 시대에, 관중은 합리적으로 여노.. 2025. 3. 27.
능정송(凌禎松): 풍수학파(風水學派) 요편천성파(搖鞭天星派)의 창시자 글: 중생평등(衆生平等)​능정송(凌禎松, 1782-1855), 자는 자악(子岳), 강소 오강(吳江)사람. 청나라 가경7년(1802년) 임술과(壬戌科) 진사(進士). 및 의 기록에 따르면, 어려서부터 음양술수(陰陽術數)를 연구하고 특히 하락리수(河洛理數)와 팔괘구성(八卦九星)의 학문에 정통했다. 어렸을 때는 "술수신동(術數神童)"으로 인근에 명성을 떨쳤다.​능정송은 과거급제후 흠천감(欽天監)에서 일하면서, 영대랑(靈臺郞), 오관정(五官正)등의 직위를 역임했다. 흠천감은 청나라조정에서 천문역법(天文曆法), 지리감여(地理堪輿)를 관장하는 중앙기관으로 직책은 황실의 능침부지선정, 궁궐풍수배치등 중요한 업무가 포함된다. 그는 청나라 풍수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능정송은 재직기간동안 를 편찬하는 일을 주재.. 2025. 3. 16.
왜 동치제(同治帝)를 청나라황제중 가장 무능하다고 말하는가 글: 안금(安錦)​함풍11년, 내우외환을 겪은 후의 함풍제 애신각라 혁저(奕詝)가 승덕 피서산장에서 병사한다. 그리하여 그는 자금성이외에서 병사한 두번째 황제가 된다(북경으로 들어오기 전의 누르하치나 홍타이시는 제외). 함풍제의 유일한 아들인 애신각라 재순(載順)은 자연스럽게 황위를 승계한다. 먼저 숙순(肅順)등 찬양정무팔대신(贊襄政務八大臣)이 정한 새 연호는 "기상(祺祥)"이었다. 그러나 서태후가 공친왕(恭親王) 혁흔(奕訢)등과 손을 잡고 "신유정변(辛酉政變)"을 일으켜 팔대신을 주살하고 정권을 탈취한 후 연호를 "동치(同治)"로 바꾼다.​이때부터 양궁태후(兩宮太后)(즉, 동태후 자안태후와 서태후 자희태후)가 수렴청정하고, 공친왕 혁흔이 정부수뇌인 의정왕이 된다.​'학습지진아' 황제​동치제 재순은 이런.. 2025. 1. 6.
의화단(義和團) 고위층의 최후 글: 오일주(吳一舟)​1901년초, 청정부는 서방열강의 조건을 받아든다. 그중에는 강력하게 처형할 것을 주장하는 12명의 명단이 들어 있었다: 재의(載漪), 재란(載瀾), 재훈(載勳), 영년(英年), 조서교(趙舒翹), 육현(毓賢), 계수(啓秀), 서승욱(徐承煜), 서동(徐桐), 강의(剛毅), 이병형(李秉衡), 동복상(董福祥)이 그들이다. 그러나, 이들의 운명은 각각 달랐다. 어떤 사람은 처형당하고, 어떤 사람은 유배를 가고, 어떤 사람은 단지 파직당했으며, 어떤 사람은 전사했다.​서태후는 서안으로 도망치는 도중에 군대에 의화단을 소탕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의화단은 소탕되었는데, 그 의화단의 고위층들(서태후에 의해 의화단 총지휘관으로 임명된 사람, 혹은 조정에서 의화단을 적극 지지한 대신)은 어떻게 할 것.. 2024. 11. 4.
함풍제(咸豊帝)의 단명을 초래한 4가지 습관... 글: 역사대학당(歷史大學堂)​청나라말기 함풍제의 짧은 일생은 거의 비극으로 끝날 운명이었다. 대청제국의 말기황제로서 외적의 침입과 내란이 빈번한 곤경에 직면해야했을 뿐아니라, 자신의 생활방식은 그의 일생을 비극으로 이끌었다. 함풍제의 재위시 그의 여러가지 행위와 그의 기호는 사람으로 하여금 탄식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함풍제의 운명은 일찌감치 정해진 것이 아니었을까? 어떤 네티즌은 이렇게 말한 바 있다. 함풍제의 4가지 애호(愛好)가 실로 그를 요절하게 만들었다. ​함풍제의 단명은 우연한 일이 아니다. 오히려 그가 스스로를 통제하지 못한 생활방식이 그렇게 만들었다. 즉위초기, 함풍제의 나이는 겨우 20살이었다. 한창 나이여서 원래 대청왕조를 진흥시키려는 희망을 가졌다. 그러나, 현실은 그를 실망시킨다.. 2024. 9. 6.
유춘림(劉春霖): 중국과거역사상 마지막 장원(狀元) 글: 세설신어(細說新語)​중국의 유구한 역사에서 과거제도는 독서인의 유일한 출로와 추구하는 목표였다. 천년이래 무수한 한문자제(寒門子弟)는 공명을 얻고 운명을 바꿀 희망을 품고, 밤낮으로 등불아래에서 열심히 공부했다.​그러나 과거제도는 청나라말기에 점차 폐지된다. 그렇다면 고대 장원의 수준은 도대체 어느 정도였을까? 중국의 마지막 장원의 답안지를 보면 그의 글씨체에 현대인들이 보면서 스스로 부끄러움을 느낄 수 밖에 없다.​그렇다면 중국의 마지막 장원은 누구일가? 그의 일생은 어떠했을까?과거지로(科擧之路)와 서법천부(書法天賦)​​중국의 마지막 장원은 유춘림(劉春霖)이다. 1872년, 그는 직예(直隸) 숙녕(肅寧)의 가난한 농민가정에서 태어났다. 비록 집안은 가난했지만, 유씨집안에서는 교육을 아주 중시했다... 2024.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