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분석262

사마천(司馬遷)은 엉터리 사학가이다 글: 황수우(黃守愚) 사마천이 <<사기(史記)>>를 썼다. 그리고 스스로, "하늘과 사람의 사이를 통하고, 고금의 변화를 연구하여, 일가의 말을 이루었다" 명산에 숨기고, 대록에 넣어서, 만세에 전해지기를 바란다고 했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사기>>는 소설, 우언에 속하.. 2010. 6. 22.
중국고대관료사회의 역자연도태 글: 정만군(程萬軍) 중국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모두 알고 있을 것이다: 역대 관료사회에서 성공한 관료들의 가장 현저한 특징은 '인간관계처리'를 잘하는 사람이지, '일처리'를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소위 '인간관계처리'를 잘 한다는 것은 통상적인 의미에서 인품이 고상하다는 뜻은.. 2010. 4. 9.
아편전쟁의 진실 글: 한육해(韓毓海) 대청제국은 실제로 장기간의 서방에 대한 개방의 역사를 지니고 있었다. 이 역사는 절대로 아편전쟁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다. 여러 유럽국가중에서 대청제국이 특히 중시한 것은 제정러시아였다. 왜냐하면, 제정러시아만이 중국을 서쪽과 북쪽에서 위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 2010. 3. 14.
팔기자제는 어떻게 무기력해졌는가? 글: 홍촉(洪燭) 위풍당당했던 팔기(八旗)는 원래 누르하치가 자신의 손으로 만든 군사, 정치, 생산이 삼위일체된 조직이었다. 초기에는 황(黃), 백(白), 홍(紅), 남(藍)의 4기(四旗)였는데, 나중에 사기가 증편되었다 그리하여 원래의 사기("정기(整旗)" 혹은 "정기(正旗)"라고 칭함)의 표지에 가장자리에 색.. 2010. 3. 4.
요리사의 식칼에 찔려죽은 3명의 중국황제 글: 유병광(劉秉光) 역사의 바다는 넓고 넓다. 온갖 기이한 일이 다 있다. 중국황제의 비정상사망중에서 기이한 것으로 따지던지, 멍청한 것으로 따지든지 전량(前凉)의 장조(張祚), 동위(東魏)의 고징(高澄), 대요(大遼)의 야율경(耶律璟)은 모두 후보에 오를만하다. 이 세 사람은 모두 난세의 제왕이고,.. 2010. 2. 1.
중국역사상의 "천황(天皇)" 글: 지백수흑(知白守黑) 세계의 국가원수는 대통령, 주석, 국왕으로 칭한다. 오로지 일본에서만 '천황'이라고 부른다. 사람들은 '천황'이라는 두 글자를 들으면, 바로 일본을 생각한다. 사실, 천황이라는 단어는 일본의 고유한 것이 아니다. 중국역사상에도 여러 천황이 있다. 이들 천황의 칭호는 어떤 .. 2009.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