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정화)10 정화(鄭和)의 신세내력 작자: 미상 대명의 수도 남경, 홍무15년 십월의 어느 날, 그저 '악...' 하는 비명이 들렸다. 한 회족 사내아이의 물건이 칼을 쥔 노사부에 의하여 잘려나갔다. 그의 이후 신분은 "소내사(小內史)"이다. 그가 바로 나중에 대명이 자자해지는 삼보태감(三寶太監) 정화(鄭和)이다. 이해에 .. 2012. 2. 1. 정화하서양(鄭和下西洋)이 티무르제국의 동진을 견제하기 위해서인가? 작자: 미상 티무르 정화하서양의 목적에 대하여 고찰하는 여러가지 논저중에서, 아주 권위있는 한 가지 견해가 있다. 즉, 정화하서양은 티무르의 동진을 견제하기 위함이다. 이 설은 정화하서양이라는 역사사건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길을 개척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그저.. 2012. 1. 31. 정화(鄭和)는 도대체 어디까지 항해했는가? 글: 해동청(海東靑) 2002년, 영국 해군장교 개빈 맨시스가 쓴 책 한 권이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였다. 동시에 중국내에도 큰 파란을 불러일으켰다. 이 책의 이름은 <1421년, 중국이 세계를 발견하다>이다. 이 책은 처음으로 정화의 선단이 지구일주항해를 실현했고, 서방의 대항해시대보다 빨리 아.. 2011. 4. 19. 정화하서양(鄭和下西洋)의 최종목적은 무엇인가? 글: 왕약곡(王若谷) "정화하서양"에 대하여 두 가지 완전히 다른 평가가 있고, 서로 격렬하게 대립하고 있다. 도대체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필자의 생각으로는 정화하서양에 대하여, 무조건적으로 찬양하고 긍정하는 것이든, 아니면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비판하는 것이든 둘 다 적합하지 않다고 본.. 2009. 1. 10. 정화(鄭和)는 어떻게 해적을 소탕했는가? 글: 촉인삼지안(蜀人三只眼) 명나라 영락연간(1403-1424), 명나라의 국력은 날로 강성해졌다. 경제실력, 조선기술, 항해경험이 모두 대규모의 항해활동을 벌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했다. 황제 주체는 웅심장지를 지니고 있었다. 그는 명나라초기의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대외정책에 만족하지 못했고, 다른.. 2008. 12. 25. 정화(鄭和)는 아메리카대륙을 발견했는가? 작자: 미상 정화(명홍무4년 1371년 - 선덕8년 1433년)는 중국 명나라때의 항해가이며 외교가였다. 원래의 성은 마(馬)이고, 이름은 삼보(三保)이며, 운남성 곤양(지금의 진녕) 보산향 지대촌에서 태어났으며, 회족(回族)이다. 6대조는 Sayyid Ajjal Shams al-Din Omar로 원나라초에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으로 온 색목.. 2008. 9. 1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