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중국의 언어49

현대한어의 70%는 일본에서 왔다. 글: 여천(旅泉)​현대한어 속에 70%에 달하는 단어는 일본제이다.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중국인들이 매일 입을 열어 얘기를 하거나, 붓을 들어 글을 쓰게 되면 그것은 바로 일제를 쓰는 것이다.​예를 들어, 과학, 간부, 사회주의, 시장, 인권, 특권, 배경, 화석, 환경, 예술, 의학, 교류, 부정, 긍정, 가설, 고조, 해방, 공급, 설명, 방법, 공동, 계급, 공개, 희망, 법률, 활동, 명령, 실종, 투자, 항의, 화장품, 은행, 공간, 경찰, 경기, 경험, 경제공황, 현실, 원소, 건축, 잡지, 국제, 시간, 시장, 실연, 종교, 집단, 신문기자, 단백질, 추상, 통화팽창, 전자, 전보, 전화, 전염병, 도서관, 비극, 부인, 무대, 밀월, 본질, 무산계급, 영해, 영공, 영토, 냉전, 논단, .. 2024. 12. 1.
한자의 곤경: 타자기에서 인공지능까지 글: 사로(思蘆) ​ 중문매체에서 크게 띄워주고 있는 를 읽어보았는데, 비교적 실망스럽다. 이 책의 작자는 스탠포드대학의 교수인 Thomas Mullaney이다. 책에 학술있내용은 적고, 역사이야기가 많아, 가치가 높지 않다. 단순한 중문타자기의 역사일 뿐이고, 깊이있는 통찰이나 분석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작자는 정치정확의 평가에 머무르면서, 사회다윈주의라는 틀로 모든 반대주장을 공격했고, 문화우열이나 언어본질에 대한 평가를 거부했다. 서방의 일부학자들은 두 문화가 부딛치는 분야에서 양편 모두에 치우치지 않으면서, 교묘하게 양쪽을 모두 인정하는 방식으로 쓰기를 좋아한다. ​ 다윈진화론의 핵심은 적자생존이다. 이 견해는 사회학에서 문화에도 우열이 있어, 낙후된 문화는 도태된다는 것으로 잘못된 것이 없다.. 2024. 3. 8.
언어로 본 중국과 서방의 사고, 문화의 차이... 글: 사로(思蘆) 언어, 사고, 문화의 삼자는 상호 영향을 크게 준다. 중국어와 영어를 비교하여, 중국과 서방의 사고방식, 문화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도 아주 재미있는 주제일 것이다. 중국인은 형상(形象)사고와 변증사고에 치중하고, 서방은 추상사고와 논리사고에 치중한다. 형식논리는 흑 아니면 백으로, 모순을 허용하지 않고, 인과관계가 분명하다. 변증법은 전면적이고 역사적이며 변화적으로 문제를 본다. 다만, 자주 중용화하고 삼칠개(三七開, 3할 7할로 나누는 것. 예를 들어 공이 7, 과가 3등과 같이), 각각 곤장50대씩 때린다, 면면구도(面面俱到), 팔면영롱(八面玲瓏)하게 된다. 언어에 반영되는 것으로는 중국어가 영어보다 모호하고, 여러 의미를 지니는 경우가 많아서, 자주 아래위의 글을 보거나, 말하는 .. 2023. 3. 7.
인민폐(人民幣)의 문자 글: 소배성(蘇培成) 인민폐에는 5종문자가 적혀 있다. 바로 한자(漢字), 몽문(蒙文, 몽골문자), 장문(藏文, 티벳문자), 유문(維文, 위구르문자)과 장문(壯文, 장족문자)이다. 아래에서는 100위안 인민폐를 예로 들어 설명해보기로 한다: 한자는 중국의 국가통용문자이다. 국내 각민족간이 교.. 2019. 1. 5.
흉노에 문자가 있었을까? 작자: 미상 흉노는 기원전3세기, 몽골초원에 건립된 유목을 위주로 한 강대한 민족정권이다. 이들은 대막남북, 동북평원, 하투 및 황토고원을 400여년간 통치했다. 그러므로 그들은 중국역사와 세계역사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유감스러운 점은 이렇게 수세기동안 활약한 흉노.. 2018. 8. 2.
청나라 황제는 만주어를 썼을까, 한어를 했썼을까? 글: 기점문사(起點文史) TV드라마에서 인기있는 청나라궁중드라마를 보면, 우리는 황제가 조회에 참석하고, 대신들이 아뢰는 광경이 자주 나온다. 그렇다면, 통치자인 청나라황제는 조정에서 만주족과 한족이 섞인 대신들과 교류할 때, 어떤 언어를 썼을까? 만주어를 썼을까? 한어를 썼을.. 2018.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