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모택동)80

모택동과 홍루몽 모택동은 일생동안 많은 책을 읽었다. <<홍루몽>>이라는 고전소설은 모택동이 가장 중시했던 문학작품중의 하나이다. 청소년시대부터 그는 이 책을 아주 좋아했고, 나이들어서까지 여러번을 읽어도 지루해하지 않았다. 얼마전에 세상을 떠난 모택동의 아들 모안청과 그의 처인 소화(邵華)는 .. 2007. 4. 12.
모택동 만년의 비밀거주지 : 202와 305 전 중공중앙판공청 경위국 부국장 무건화(武健華)는 모택동의 경위중의 하나이며, 모택동이 서거한 후, 무건화는 명을 받들어 강청 및 모택동의 조카 모원신을 체포함으로써, 사인방시대를 마감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최근 그는 구술로 사인방체포의 전후의 경력을 이야기하면서, 모택동을 위하여 .. 2007. 4. 2.
모택동이 김일성에 보낸 철군서신(1958.1.24) 김일성 수상동지: 1957년 12월 16일과 25일 두번에 걸쳐 보낸 서신은 이미 받아보았습니다. 서신중에서 중국인민지원군이 조선에서 철수하는 문제에 관하여 제출한 두 가지 방안을 우리는 이미 자세히 검토해보았습니다. 우리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적극적으로 외국군대가 조선에서 철수하도록 .. 2007. 3. 27.
모택동은 개국대전에서 도대체 무슨 말을 하였는가? 글: 열대어(熱帶魚) 1997년 6월 18일, 북경TV는 지식경연대회를 거행하였고, 프로그램 MC는 참가자들에게 이런 문제를 제출했다. "1949년 10월 1일, 모택동주석이 개국대전에서 어떤 말을 하였는가?" 이 문제에 대하여, 어떤 참가자는 "중앙인민정부가 성립되었다"라고 하였다고 대답하고, 또 어떤 참가자들.. 2007. 3. 21.
모택동과 하자진의 혼인파경경위 모택동이 하자진과 헤어지게 된 것에는 미국기자 스메들리(Smedly, 史沫特萊)가 불을 붙였고, 여자통역이 도화선이 되었다. 1937년 2월, 모택동, 주은래, 주덕등은 스메들리를 도입한 새로운 오락 즉, 서양식의 사교춤을 장려하였다. 스메들리는 이 장정에서 살아남을 사람들에게는 긴장을 풀어주는 오락.. 2007. 1. 13.
7501도자기: 모택동전용도자기 1975년 1월 강서성의 경공업부도자공업과학연구소는 중앙판공청의 지시에 따라, 비밀리에 모주석의 전용생활도자기를 연구개발해냈다. 이 공정의 번호는 "7501"(75년 01월에 시작했다는 의미)이었다. 30여년이 지났고, 이 신비한 도자기의 가치는 당초의 수십위안에서 수만배를 뛰었다. 7501도자기 1개는 10.. 2007.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