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문학299 맹호연(孟浩然)의 춘효(春曉) 글: 정계진(丁啓陣) 춘면불각효(春眠不覺曉) 처처문제조(處處聞啼鳥) 야래풍우성(夜來風雨聲) 화락지다소(花落知多少) 봄잠에 노곤하여 날새는 줄 몰랐는데 곳곳에서 들려오는 새우는 소리 밤사이 비바람이 치던데 꽃은 또 얼마나 졌을까? 맹호연은 시인중의 시인이라고 할 수 있고, 그의 이 오언절구.. 2009. 4. 7. 가모(賈母)와 가정(賈政)의 전략다툼 글: 심위풍(沈威風) 하나의 기업이 오랫동안 발전하려면 반드시 전략적인 사상이 있어야 한다. <<손자병법>>에서는 "모든 일에 미리 준비하면 이루어지고,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이루어지지 않는다(凡事, 預則立, 不預則廢)"고 하였다. 사전에 발생가는한 추세에 대하여 미리 판단한다는 것은 .. 2009. 3. 18. 양우생(梁羽生): 신파무협소설의 개산비조(開山鼻祖) 글: 유계흥(劉繼興) 구정 전날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불행한 소식이 들려왔다: 무협소설의 대가인 양우생이 1월 22일 병으로 시드니에서 향년 85세를 일기로 사망했다는 것이다. 이 35권의 소설책을 세상에 내놓고, 작품의 자수가 천만자가 넘는 신파무협소설의 개산비조의 죽음은 바로 여론의 촛점이 .. 2009. 2. 1. 무협소설의 발전사 글: 장수강(張守剛) 사마천이 <<사기>>에 유협(遊俠)에 관하여 글을 남긴 후, 지금까지 각 무협파벌이 속속 출현했다. 무협소설의 발전사를 되돌아보면, 매 시기마다 그 대표적인 특징이 있고, 매 지역마다 서로 다른 특징이 있다. 유협(遊俠) vs. 호협(豪俠) 사마천은 <<사기. 유협열전>>.. 2009. 1. 23. 임대옥(林黛玉): 나의 네번째 선택 글: 냉성금(冷成金) 현재는 사장이 많다. 그런데, 개혁개방초기에는 시인, 작가가 아주 많았다. 1980년대초에 이런 우스개가 있었다. 북경의 한 테라스에서 화분이 깨져서, 지나가던 사람 10명이 다쳤는데, 병원에 등록을 하다보니 9명이 시인이고, 나머지 1명은 소설가였다는 것이다. 80년대 후반에는 우.. 2009. 1. 23. 김용(金庸)은 우리에게 어떤 꿈을 만들어 주었나? 글: 오사(吳思) 왕자가 신데렐라를 사랑하게 되고, 미운 오리 새끼가 백조로 바뀐다는 이런 유형의 동화가 유행하고 열기가 식지 않는 이유는 바로 신데렐라와 미운 오리 새끼들이 읽기를 좋아하고, 재미를 느끼기 때문이다. 그녀들에게는 이런 백일몽이 필요하다. 이런 수요가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 2009. 1. 22.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