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문학300 삼국연의: 아편인가, 담배인가 글: 이중천(易中天) 삼국연의 드라마가 다시 시작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보고 있다. 이건 당연한 것처럼 보인다. 중국인들은 왜 삼국연의를 좋아할까? 어떤 사람은 권력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적지 않은 사람들의 눈에는 나관중의 <<삼국연의>>가 '정치계몽서'이다. 왜냐하면 .. 2010. 6. 18. 서문경(西門慶) 고향다툼: 누가 더 후안무치한가? 글: 유앙(劉仰) 중국에는 지금 막 '누가 더 후안무치한가'를 다투는 시합이 벌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명인고향(名人故里)' 다툼은 벌써 리스트가 길게 늘어섰다. 위로는 5천년전의 황제, 요임금으로부터, 아래로는 수백년전의 조설근, 심지어 소설인물인 서문경까지. 적지 않은 관리들과 학자들이 '명.. 2010. 5. 6. <<서유기(西遊記)>>의 작자는 '오승은(吳承恩)'이 아니다. 글: 황수우(黃守愚) 백회본소설 <<서유기>>의 진정한 작자가 누구인가? 역시 고증할 방법이 없다. 백회본소설 <<서유기>>가 가장 먼저 간행된 것은 명나라 만력 20년(1592년)이다. 금릉당씨세덕당각본(金陵唐氏世德堂刻本)으로 20권, 100회이다. 여기에는 작자의 성명이 적혀 있지 않다. 책.. 2010. 2. 2. <<홍루몽>>의 작자는 '조설근'이 아니다. 글: 황수우(黃守愚) <<홍루몽(紅樓夢)>>의 진정한 작자가 누구인가? 이제 고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홍루몽>>의 제1회에는 이런 말이 있다: "조설근(曹雪芹)이 일찌기 도홍헌(悼紅軒)에서 십년동안 피열(披閱)하면서, 5번 덧붙이고 빼며(增刪), 목록을 편찬하고, 장회(章回)를 나누었다.. 2010. 2. 2. 김용(金庸)은 정치적이다 글: 양문도(梁文道) 예전에 등소평(鄧小平, 덩샤오핑)이 김용(金庸, 진용)을 처음 만났을 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네가 쓴 소설을 읽어본 적이 있다." 생각해보라 1980년대초에 등소평과 같은 사람들까지 김용의 소설을 보았을 정도이니, 김용이 중국인세계에서 영향력이 얼마나 크고 독자범위가 얼마.. 2010. 1. 29. 명청문인들은 왜 이청조(李淸照)의 재혼을 극력 부정했는가? 글: 정계진(丁啓陣) 남편 조명성(趙明誠)이 죽은 후, 이청조가 재혼하였다는 것은 송나라사람들의 저작에서 여러 군데 명시 또는 암시되어 명확히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1. 왕작(王灼)의 <<벽계만지(碧鷄漫誌)>> 권2: "조(명성)이 죽은 후, (이청조)는 모씨와 재혼했다. 소송을 통하여 이혼했.. 2010. 1. 24.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