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은래113

임두두(林豆豆): 임표가 죽은 후 그녀는 어떻게 살았는가? 글: 왕우군(王友群) 1971년 9월 13일, 중국공산당 당장(黨章)에 "모택동의 친밀한 전우이며 후계자"로 기재되었던 임표(林彪)는 그의 처인 섭군(葉群), 아들 임입과(林立果)와 함께 탑승한 트라이던트비행기가 하북 산해관공항에서 이륙하여 몽골의 원두르칸에서 추락한다. 비행기에 탔던 9명은 전원 사망한다. 이것이 당시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던 "9.13사건"이다. 임표는 중공의 십대원수중 한명으로, 1949년 중국공산당이 정권을 장악한 후, 임표는 국무원 부총리, 중공중앙부주석, 국방부장, 중앙군위제1부주석등의 직위에 오른다. 문혁때, 모택동의 다음가는 2인자가 된다. 임표가 죽은 후, 중공은 그를 '반당반국(叛黨叛國)'의 야심가, 음모가, 매국노로 매도되며, 모택동을 해치려고 음모를 꾸민 원흉으로 규.. 2020. 6. 27.
<홍도여황(紅都女皇)>사건이 재연되는가? 글: 선봉진(撣封塵) 4월 29일, 전인대 상무위원회는 전인대3차회의를 5월 22일에 베이징에서 개최하고, 29일 폐막한다고 밝혔다. 전국정협회의는 5월 21일에 베이징에서 개최되고 27일 폐막한다. 현재 양회의 소집개최까지 반달여 남았는데, 두 통의 궤이하기 그지없는 '태자당'의 공개서신이 양회의 분위기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이 두 서신은 각각 중국내부의 시진핑지지, 시진핑반대의 양파세력을 대표한다. 시는 시가 아니고, 덩은 덩이 아니다. (1) "시위안핑"의 공개서신은 지진핑지지의 저급홍(低級紅)이다. 4월 30일, 인터넷에는 자칭 시위안핑의 공개서신이 나돌았다. 시진핑을 위해서 썼으며 시진핑의 곤경을 풀어주려는 의도가 분명히 드러난다. 공개서신에서 그의 형(시진핑)이 이렇게 큰 중국을 다스리는게 .. 2020. 5. 6.
중국의 한국전쟁참전: 출병결정과정 글: 황영욱(黃迎旭) 한국전쟁은 신중국이 싸운 최초의 대규모 국부전쟁이다. 상대는 미국이라는 세계최강국이었다. 이는 아주 힘든 시험이었다. 신중국의 국력과 군사력을 시험받을 뿐아니라, 더더구나 신중국의 지도자들이 시험받는 것이다. 모택동을 핵심으로 한 중국의 지도자들은 .. 2020. 1. 9.
손월기(孫越崎): 5.4운동에서 삼협공정반대운동까지.... 글: 왕유락(王維洛) 역사는 만화경이다. 원래 겉으로 보기에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것같은 사건, 서로 알지도 못하는 사람을 하나로 연결시킨다: 6.4운동의 폭력진압과 삼협공정의 추진, 5.4운동때 천진의 학생지도자와 북경대학의 교장 채원배, 북양대학에서 제적된 학생과 민국시대의 가장.. 2019. 5. 16.
왕뤼린(王瑞林): 중국 최후의 '감군(監軍)' 글: 임염(荏苒) 사람의 인생에서 운명을 바꿀 기회가 있다. 그리고 '귀인'을 만나서 하루아침에 이약용문(鯉躍龍門)할 수도 있다. 화궈펑(華國鋒), 왕둥싱(汪東興), 후차오무(胡喬木)가 모택동에게 그러했고, 리더셩(李德生)이 주은래에게 그러했고, 왕뤼린이 등소평에게 그러했다. 1952년 22.. 2018. 12. 17.
장신부(張申府): 복잡난언(複雜難言)의 일생 글: 하신(何新) 장신부(1893-1986), 원명 장숭년(張嵩年), 자는 신보(申甫). 현대철학가 장대년(張垈年)이 형. 1893년 6월 15일 하북 헌현(獻縣)에서 출생. 그는 중국공산당 초기조직의 3대 주요 창시자중 한 사람이다. 1908년, 장신부는 순천고등학당 중학반에 입학하고, 1913년 북경대학에 입학한.. 2018.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