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택동356

개풍(凱豊): 준의회의(遵義會議)때 모택동을 가장 무시했던 중앙위원. 글: 묘안관사(猫眼觀史) 모주석과 같은 중국의 영수도 전쟁시대에는 고생이란 고생은 다 겪으면서, 다른 이들의 냉대를 받았었다. 특히, 1932년 10월애 개최된 영도회의(寧都會議)후 그는 한때 홍군 지도층에서 철저히 배제된 적도 있다. "사실은 웅변보다 강하다." 1935년 1월에 개최된 준의회의(遵義會議)에서 박고(博古)를 대표로 한 잘못된 노선으로 당과 홍군은 사상유례없는 위기에 처하게 된다. 여기에서, 모택동은 마침내 당중앙과 홍군의 지도자지위를 확립할 수 있었다. 그런데, 준의회의때 한 사람의 그에 대한 비판의 소리는 오랫동안 모주석이 가슴에 담아두게 된다. "너, 모택동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아느냐? 너는 기껏해야 를 봤을 뿐이잖나. 군사지식이라는 것이 모두 거기에서 배운 것이고. 지금은 쓸모가 .. 2023. 2. 20.
"중공특과(中共特科)": 비밀조직의 진실한 이야기 글: 원천(源泉) 오늘 이야기나눌 것은 역사상의 "중공특과"이다. 이 조직은 중국공산당사에도 애매모호하게 기록한 신비스러운 조직이다. 공산당사를 잘 아는 사람이라면 알고 있을 것이다. 소련이 아직 설립되기 전에, 볼세비키당은 건립초기 심각한 생존위기를 맞이한다. 내부의견이 분열되고, 반대당은 강력했으며, 여러 방면에서 짜르체제를 옹호하는 전통역량이 있었다. 이때 레닌의 주도하에 볼셰비키당에는 "체카"라는 특무조직을 두어, 암살과 테러활동을 벌이는데, 극히 잔혹하고 극단적인 수단으로 반대파와 경쟁상대를 제거한다. 최종적으로 공산세력이 집권당이 된다. 그리고 소련공산당을 그대로 복제한 중국공산당도 마찬가지의 과정을 거친다. 대륙의 저명한 다큐멘터리작가 왕판(王凡)이 최근 출판한 에서 여러 당사자들이 직접 겪.. 2023. 2. 14.
남창폭동(南昌暴動): 참가한 지도자들의 서열은? 글: 고벌림(高伐林) 중국의 정치와 문화전통은 역대이래로 존비유서(尊卑有序), 즉 위계질서를 중시하며 강상(綱常)을 어지럽히지 않아야 한다. 봉건등급에 반대하고, 사람은 평등하다는 기치를 내걸고 반란을 일으킨 중국공산당도 권력을 잡은 후에는 역시 존비유서를 따졌다. 여기에서 필자는 유방의 이야기가 떠오른다. 천하를 차지한 후 논공행상을 벌이는데, 문신과 무신들이 서로 취한 상태에서 공을 다퉜다. 서로 소리치고, 검을 뽑아 탁자를 베고, 기둥을 쳤다. 유방은 그런 것이 꼴보기 싫었지만 어쩔 도리가 없었다. 그때 숙손통(叔孫通)이 유방에게 아이디어를 제공하여, 등급제도, 예악규장을 제정하여 신하들을 교욱하고 백성들을 따르게 한다. 다시 조회를 개최하자 신하들은 황공해 하면서 법도를 따랐다. 유방은 그제서야 .. 2023. 2. 9.
어느 사건으로 모택동이 유소기를 죽이기로 결심했을까? 글: 히요시 히데마츠(日吉秀松, 일본대학 문리학부 조교수, 중국계) 독재자는 권력과 명리에 반드시 신경을 쓴다. 유소기(劉少奇)는 모택동(毛澤東)을 믿었기 때문에 국가주석직을 물려받았고, 결국은 목숨을 잃게 된다. 모택동과 유소기의 결렬은 절대로 사청(四淸)떄부터 시작된 것이 아니고, 8대에서 개인숭배를 비판한 것이 발단이었다. 시모노프는 다음과 같이 얘기한다. 그(스탈린을 가리킴)는 강연대에 올라 모든 사람들을 보면서 발언했다. 나는 나이가 들었고, 나는 수탁받은 모든 직책을 이행할 수 없다. 나는 계속하여 장관회의주석의 직무를 담당할 수 있고, 이전처럼 정치국회의를 주재하는 직책을 이행할 수 있지만, 더 이상 총서기로서 중앙서기처의 회의를 주재할 수는 없다. 그리하여 나는 총서기의 직무를 면직해줄 것.. 2023. 2. 8.
진독수(陳獨秀) vs 모택동(毛澤東): 중국공산당의 초기지도자 글: 오성수행(悟性隨行) 중국공산당 최초의 지도자는 진독수이다. 진독수의 특징은 학술사상분야에서 독립구신(獨立求新), 자신불기(自信不羈), 시야서리(視野犀利), 격정양일(激情洋溢)하며, 자신의 의견을 얘기하기 좋아하고, 또한 잘 말할 수 있었다. 이런 특징은 현대교육에 종사하거나 방향성과 기치성을 확립하는 인물로서는 더 이상 적합할 수 없다. 그래서 진독수가 중국공산당의 초대 지도자가 된 것은 아주 적합하다. 민주와 과학 덕선생(德先生, Democracy를 말함)과 새선생(賽先生, Science를 말함). 중국의 신문화운동은 모두 진독수가 극력 추진하여 중국의 넓은 대지 위에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스며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그의 한계성이다. 그는 멀리 보고 깊이 보지만, 현실은 도외시했다. 192.. 2023. 2. 1.
팽덕회(彭德懷) 죽음의 배후 글: 임휘(林輝) 1974년 12월 17일, 한 구의 시신이 301병원에서 비밀리에 화장장으로 보내어져 화장된다. 화장신청서에 쓰인 것으로는 "신청인: 왕규(王奎), 주소: 301, 사망자와의 관계: 부자, 사망자성명: 왕천(王川), 남, 76세, 번호: 0012690" 사실상, 이 왕천이라는 이름의 인물이 바로 중국의 전 국방부장, 원수 팽덕회였다. 중공내부에서 팽덕회는 성격이 솔직하고, 충동적이며, 감히 직언을 마다하지 않고 정의감이 넘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일찌기 항전시기, 팽덕회는 중공의 적극항전을 주장했다. 서북의 구석에 숨어서 병력과 힘을 비축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그가 주도한 "백단대전(百團大戰)"은 바로 모택동의 '마작전'만 하라는 지도사상을 어기면서 진행한 것이다. 이 전투는 중.. 2023.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