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남북조)52 서소패(徐昭佩): 서낭반로(徐娘半老) 풍운유존(風韻猶存) 글: 조염(趙炎) 553년의 가을날, 후량(後梁)의 수도인 강릉(江陵, 지금의 호북성 형주)의 대로에는 도처에 쇠잔한 낙엽이 쌓여 있었다. 몇몇 내시 복장을 한 사람들이 마차를 하나 끌고 나타났다. 마차위에는 물기에 젖어 있는 여자의 시체가 누워 있었다. 그들은 시중(侍中)인 서곤(徐緄.. 2014. 1. 14. 북제(北齊): 금수왕조 글: 악망(樂奀) 1. 역사상의 북제정권 남북조(420-589)는 중국역사상의 분열시기이다. 유유(劉裕)가 동진(東晋)을 멸하고 황위를 찬탈하여 남조 송(宋)을 건립할 때로부터, 소나라가 남조 진(陳)을 멸할 때까지, 남조는 송, 제, 양, 진의 4왕조를 지난다. 모두 한족이 건립한 정권이다. 북조(.. 2013. 9. 14. 남제(南齊): 일년삼제삼연호(一年三帝三年號) 글: 악망(樂奀) 연호(年號)는 중국봉건제도의 일대 '발명'이다.고대황제가 기년(紀年)에 쓴 전용명칭이다; 제왕의 정통을 나타내며, 서한(西漢) 한무제(漢武帝) 유철(劉徹)이 창시한 이래 역대제왕이 즉위하면 일반적으로 연호를 만들었다. 원세개(袁世凱)가 황제제도를 복벽한 후, "홍.. 2013. 9. 14. 양헌용(羊獻容): 육폐칠립(六廢七立)의 황후 글: 노후(老猴) 양헌용은 서진(西晋)의 외척인 양현지(羊玄之)의 딸이다. 그녀는 진혜제 사마충의 두번째 황후였을 뿐아니라, 양진시기 십육국중 하나인 전조(前趙)의 말제(末帝) 유요(劉曜)의 황후이기도 하다. 그는 두 황제를 22년간 모시면서 복잡한 궁중투쟁과 사회정치배경하에 그녀.. 2013. 7. 12. 죽림칠현 혜강(嵇康)의 죽음 글: 사비상(史飛翔) 262년, 하남 낙양의 동시(東市). 시간은 혈색잔양(血色殘陽, 피같은 색깔의 지는 태양)의 오후였다. 수거(囚車)에서 걸어내려온 혜강은 형집행인들에게 형장으로 끌려갔다. 이전에 옥중에서 고난과 혹형을 받아서, 이때의 혜강은 이미 온 몸이 상처투성이고, 제대로 걷.. 2013. 6. 13. 조적(祖逖): 양진대호걸의 어쩔 수 없는 최후 글: 유계흥(劉繼興) 중화영걸다호기(中華英傑多豪氣) 천지지간일조적(天地之間一祖逖) "문계기무(聞鷄起舞)", "중류격즙(中流擊楫)"은 중국인들이 많이 들어본 고사성어이다. 그러나, 이 두 고사성어의 주인공인 조적의 사적을 진정으로 알고 있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가 않다. 서진(西.. 2013. 2. 12.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