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학288

삼국영웅의 무공랭킹 글: 노철봉(蘆哲峰) "삼국"에 나오는 여러 영웅의 무공랭킹에 관하여, 민간에서 널리 알려진 설은 이렇다: 일여이조삼전위(一呂二趙三典韋), 1위는 여포, 2위는 조운, 3위는 전위 사관오마육장비(四關五馬六張飛). 4위는 관우, 5위는 마초, 6위는 장비 칠황팔허구강유(七黃八許九姜維) 7위는 .. 2017. 8. 2.
"개방(丐幇)"은 존재했을까? 기원은 언제일가? 글: 이후굉(易厚宏) 개방은 중국의 무협소설에서 가장 자주보는 방파이다. 김용이건 고룡이건 양우생이건, 개방은 모두 많은 분량을 차지하낟. 개방은 역사적으로 실제 존재했던 방파이다 다만 무협소설에서처럼 그렇게 천하제일의 대방파였을까? 개방을 얘기하자면, 김용무협소설을 얘.. 2016. 11. 23.
홍루몽의 작자는 누구일까? 글: 사류석(謝流石) 홍루몽의 작자는 누구인가? 2,3백년동안 여러가지 설미 많이 나와서 하나로 모여지지 못했다. 청나라때의 유서(裕瑞)는 <조창한필(棗窓閑筆)>에서 이렇게 말했다. 듣기로 <풍월보감>이라는 책은 <석두기>라고도 하는데, "누가 썼는지 모른다." 조설근이 그.. 2016. 10. 12.
손권(孫權): <삼국연의>에서 가장 왜소화된 영웅 글: 정정(丁丁) 삼국시대가 근 이천년동안 가장 주목받는 역사가 된 근본원인은 두 부의 유명한 저작때문이다: 하나는 바로 나관중이 쓴 중국고대사대명저중 하나인 <삼국연의>이고, 다른 하나는 진수가 쓴 역사서 <삼국지>이다. 비록 한 부는 소설이라는 이름으로 삼국역사를 쓰.. 2016. 7. 16.
<삼국연의>는 왜 석정(石亭)전투를 언급하지 않는가? 글: 정정(丁丁) 삼국시대에 석정전투는 기실 아주 유명한 전투이다. 그리고 아주 멋진 전투이다. 당시 오(吳)나라의 총사령관인 육손은 주항, 전종, 주연등 저명한 장수를 이끌고 위나라의 조휴가 총사령관으로 가목, 주령, 왕릉이 이끄는 십만대군을 물리치고, 1만여명을 참하고 포로로 .. 2016. 7. 16.
홍루몽의 작자는 도대체 누구인가? 글: 자주군(煮酒君) 홍루몽의 작가가 누구냐고 얘기하면 아마도 90%이상은 조설근이라고 말할 것이다. 확실히 이것은 많은 사람들 사이에 컨센서스가 이루어진 것같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은 기실 중화민국시대에 이루어진 하나의 고증때문이다. 홍루몽은 처음에 <석두기(石.. 2016. 5. 1.
<삼국연의>의 일기토방식은 진짜인가? 글: 대상공회(大象公會) <삼국연의>의 문학적 묘사에는 과장된 부분이 있다. 그러나, "무장일기토"라는 장면은 역사적으로 실제 존재했었다. 청나라때의 고증대가는 사적, 필기에 기재된 무장의 일기토에 관하여 정리한 바 있다. 왕완정(王阮亭)이 <지북우담(池北偶談)>에서의 내.. 2016. 5. 1.
김융무협소설에서 부인으로 삼으면 안될 10대 미인 글: 황추화(黃秋華) 김용 무협소설에는 미인이 많이 등장한다. 그러나 등장하는 여인들은 모두 나름의 개성을 지니고 있다. 모든 미인들이 온유하여 부인으로 취하기 적당하지 않다. 1위 강민(康敏) 마부인(馬夫人)은 완전한 한 명의 자련광(自戀狂)이다. 자신의 남편에 대하여 독랄한 마.. 2016. 4. 24.
홍루몽과 수호전은 첫부분이 10가지 점에서 놀랍도록 닮았다. 글: 이옥광(李玉廣) 홍루몽과 수호전은 모두 중국의 4대명저에 들어가고, 세상에 전해지는 판본이 비교적 많다. 필자는 이번에 이런저럴 판본은 모두 놔두고, 그저 통행본인 (124회본) 홍루몽과 통행본 (100회본) 수호전의 첫부분에 대한 대조비교를 해보기로 한다. 정확히 말하면, 홍루몽은 임대옥이 가부에 들어오기 전까지는 모두 첫부분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고, 수호전에서는 사진이 노달(나중의 노지심)을 만나기 전까지를 첫부분의 범주로 보았다. 필자가 자세히 읽어본 결과 과 은 첫부분에서 10가지나 놀랍게도 닮은 점이 있었다. 一. 홍루몽과 수호전의 첫부분 비교 1. 돌맹이(石頭)의 각도에서 통행본 홍루몽과 통행본 수호전의 첫부분은 모두 이미 세상에 오래동안 존재해온 "요석(要石, 중요한 돌맹이)"에.. 2016. 3. 20.
"인면도화(人面桃花)": 여성의 아름다움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었다. 글: 중천비홍(中天飛鴻) "인면도화"를 애기하면 아마도 문인들 은 모두 이 성어의 전고를 알고 있을 것이다. 고대에 많은 시사(詩詞)에서 이 성어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북송의 사인 유영의 <만조환(滿朝歡)>은 이러하다: 인면도화(人面桃花), 미지하처(未知何處), 단엄주비초초(但掩.. 2016.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