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학299

돌궐(突厥)은 왜 늑대를 토템으로 삼았는가? 글: 문재봉(文裁縫) 토템(Totem)은 인디안말에서 왔다. 원래 북미 Algonkian 부족의 Ojibwa족방언에 나오는 ototeman에서 왔다고 한다. 그 의미는 ‘그의 친족’이라는 뜻이다. 즉, 한 씨족의 표시 혹은 휘장을 가리킨다. 토템은 원시인들이 특정 동물이나 식물등 특정한 물체를 자신 씨족과 친족관계 혹은 기타 .. 2011. 9. 20.
반금련(潘金蓮)은 실존인물일까? 글: 문재봉(文裁縫) 반금련은 중국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인물이다. 반금련이 유명해진 것은 <<수호전(水滸傳)>>과 <<금병매(金甁梅)>>때문이다. 그녀는 수백년간 역사의 악녀로 요괴, 음탕, 독랄의 대명사가 되었다. 그렇다면, 반금련이라는 여인이 실제 역사상 존재.. 2011. 5. 14.
이규(李逵)는 어떻게 세번이나 살아남았는가? 글: 유아주(劉亞洲) 어떤 조직이든 조직이기만하면 크든 작든 모두 규율, 규정이 있다. 그렇지 않으면 조직은 모래알이 되고 성장할 수가 없다. 조직이 어느 정도까지 성장하고 나면, 반드시 법률, 법규가 필요하다. 심지어 조직이 성장하는 특수한 시기에는 규율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 2011. 3. 16.
장애령(張愛玲)의 집안내력 글: 유계흥(劉繼興) 절대재녀 장애령의 작품은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장애령의 작품은 속세생활에서 소재를 찾았고, 서방 현대심리분석파의 요령과 중국고전소설의 서사필법을 기묘하게 결합시켰으며, 상상력은 화려하고 풍부하다. 서방학학계에서 중국현대문학연구의 선구자이자 권위.. 2011. 2. 11.
양고체(羊羔體): 노신문학상이 몰고온 풍파 2010년 10월 19일 무한시 기율검사위 서기인 차연고(車延高)의 시집 <<향왕온난(向往溫暖)>>이 노신(魯迅)문학상 시가(詩歌)부문상을 받았다. 그런데, 차연고가 고위공무원이라는 점, 그리고 그의 시 자체가 시라고 보기 힘들 정도로 그저 입에서 나오는 말을 그대로 옮겨적은 수준이라는 점에서 .. 2010. 10. 22.
국파산하재(國破山河在): '국(國)'은 국가인가 국도인가? 글: 정계진(丁啓陣) 두보(杜甫)의 명시 <<춘망(春望)>>이 있다. 국파산하재(國破山河在) 성춘초목심(城春草木深) 감시화천루(感時花濺淚) 한별조경심(恨別鳥驚心) 이는 인구에 회자되고, 남녀노소 모르는 사람이 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 안의 단어, 시의의 해석은 여전히 사람마다 각각이어서, .. 2010. 1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