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개석154 중국제일가족: 2천년간 이어내려온 공자후손 글: 최애역사(最愛歷史) 1 1920년 2월 23일, 곧 태어날 영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체 곡부(曲阜)는 임전태세였다. 이전 3개월, 공자의 제76대적손이자 동시에 제30대 연성공(衍聖公) 공령이(孔令貽, 1872-1919)가 돌연 북경에서 사망했다. 향년 47세였다. 복송때부터 세습하여 '연성공'을 맡아온 .. 2019. 1. 17. 국민당 장군간의 배분(輩分)과 칭호(稱號) 글: 청풍명월소요객(淸風明月逍遙客) 어느 영화에서 두율명(杜聿明)과 부작의(傅作義)가 북경에서 만났는데, 부작의가 두율명을 '광형형(光亨兄)'이라고 부르고, 두율명은 부작의를 '의생형(宜生兄)'이라고 불렀다. 이렇게 서로를 부르는 것은 정말 황당하다; 어떤 드라마에서 장치중(張.. 2019. 1. 13. 손중산의 3명 대내시위(大內侍衛): 서로 다른 길, 서로 다른 운명 글: 시기(屎記) 우리는 알고 있다. 초기의 국민정부는 손중산 선생이 이끌었다는 것을. 그때 그의 수하에는 겨우 몇 명이 있었고, 나중에 사람들은 그들을 존경하여 손중산의 대내시위라고 부른다. 그들은 당시 손중산 수하의 2명의 영장(營長)이었다. 설악(薛岳), 섭정(葉挺) 그리고 장발.. 2019. 1. 5. 장경국(蔣經國)은 어떻게 장개석(蔣介石)의 후계자로 확정되었는가? 글: 삼창(森彰) 역사의 철칙에 따르면, 어떤 독재정권도 권력자가 병사한 후, 권력승계문제를 놓고 반드시 투쟁이 벌어지게 되어 있다. 이런 상황은 장개석이 병사한 후에도 여전히 존재했다. 대만으로 간 후에 장경국의 장개석의 지지하에 신속히 정보조직을 장악했다. 그리고 이것은 단.. 2018. 12. 18. 서안사변(西安事變)때 각 세력의 입장은...? 글: 안득(安得) 금년(2018년) 12월 12일은 서안사변 82주년기념일이다. 1936년 12월 12일, 중국 동북군장수 장학량(張學良), 서북군장수 양호성(楊虎城)은 서안에서 '병간(兵諫)'을 일으킨다. 당시 중국최고지도자인 장개석과 그의 수행인원들을 억류하였다. 일시에 남경국민정부, 국민당지방실.. 2018. 12. 15. 현양사(玄洋社): 일본의 간첩조직 글: 융성전우(戎星戰友) 열본역사를 잘 아는 사람은 알고 있을 것이다. 1860년대이래 일본은 외국 각 분야의 정보수집을 계속 중시해왔다. 이런 정보의식으로 일본인은 시시때때로 어디에서든지 정보를 포착하였다. 그리하여 일본에는 '전민정보국가(全民情報國家)'라는 칭호가 있었다. .. 2018. 12. 4. 이전 1 ··· 3 4 5 6 7 8 9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