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정제61 동소완(董小宛)은 어떻게 모벽강(冒辟疆)의 애정을 추구했는가? 글: 정계진(丁啓陣)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평등하다. 사람은 모두 애정을 추구하고 애정을 얻을 권리가 있다. 자연히 기녀도 예외는 아니다. 기녀중에 유명한 기녀들은 일정한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뛰어난 이성을 만날 기회가 많았다. 그리고 생각이 비교적 개방적이어서, 왕왕 적극적이고 대담하게.. 2010. 2. 9. 숭정제: 강산보다 돈을 중시한 수전노황제 글: 유병광(劉秉光) 근검절약은 중화민족의 전통미덕이다. 다만, 절약도 지나치면, 변질되고, 경우에 벗어나며, 자잘하게 되고, 인색하게 된다. 그러면, 수전노(守錢奴)가 되는 것이다. 명나라의 숭정제(崇政帝) 주유검(朱由檢)은 역사상 보기 드문 인색한 황제였다. 서예를 연습하면서도, 그는 종이를 .. 2008. 12. 31. 아담 샬: 중국에서 가장 성공한 서양선교사 글: 우야강금(雨夜鋼琴) 아담 샬(Johann Adam Schall von Bell, 湯若望 1591-1666)은 명말청초에 중서문화교류를 촉진하는데 걸출한 공헌을 세운 선교사이다. 16,7세기에 중국에 온 선교사들은 처음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포르투갈이나 스페인의 식민통치자의 자금지원을 받았었다. 그들이 중국으로 오기 전.. 2008. 12. 27. 숭정제 황자들의 행방 글: 하억(何憶) <<명사. 제왕전>>의 기록에 따르면, 숭정제는 모두 7명의 아들을 두었다. 그중 주황후(周皇后)가 셋을 낳았는데, 황장자 태자 주자랑(朱慈烺), 황이자 회은왕(懷隱王) 주자훤(朱慈烜),황삼자 정왕(定王) 주자형(朱慈炯)이다; 그리고 전귀비(田貴妃)가 넷을 낳았는데, 바로 황사자 .. 2008. 12. 23. 장평공주(長平公主) 생사의 수수께끼 글: 하억(何憶) 가련여화사옥녀(可憐如花似玉女) 생어말세제왕가(生於末世帝王家) 국파가망봉연기(國破家亡烽煙起) 표령윤락몽천애(飄零淪落夢天涯) 가련하구나, 꽃처럼 아름다운 여인이지만 말세에 황제의 딸로 태어났구나. 나라와 집안이 다 망하고 전쟁의 불꽃이 이는데 이러저리 흘러다니며 하.. 2008. 12. 21. 숭정제 군대가 17년만에 완전히 달라진 이유는? 글: 정만군(程萬軍) 명나라말기, 세 갈래의 군사역량이 중원의 패권을 놓고 다투고 있었다. 이 세 군대는 한때 '돌아가며 무서워하는' 국면을 형성했다: 청나라군대는 명나라군대를 무서워하고, 명나라군대는 농민군을 무서워하고, 농민군은 청나라군대를 무서워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국, 명나라는 농.. 2008. 10. 30. 이전 1 ···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