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지방/북경의 어제55

북경에는 몇 개의 왕부(王府)가 있는가? 글: 홍촉(洪燭) 북경에는 몇 개의 왕부가 있을까? 1920년 즉 청나라 황제가 퇴위한 후 8년이 지나서 만들어진 <<북경실용지남>>에는 이름이 있으며, 건축이 상존하거나 조사가능한 왕부가 모두 74개라고 밝히고 있다. 여기에는 이미 폐기되었고나 소멸되었거나 실전된 것은 포함하지 않은 숫자이.. 2010. 2. 8.
동교민항(東交民巷): 북경 최초의 대사관구역 글: 홍촉(洪燭) 동교민항은 북경 최초의 공사관구역으로 유명하다. 명나라시기에 각국에서 북경으로 온 외교사절과 유학생들을 맞이하는 숙소는 모두 황성 정문의 남쪽에 있는 동강미항(東江米巷)에 있었고, 중앙각부의 아문이 집중한 업무구역과 이웃했다(외교사무를 처리하는 예부와 홍로사포함). .. 2009. 11. 9.
왕치화(王致和): 처우떠우푸(臭豆腐) 이야기 글: 유계흥(劉繼興) 1669년(강희8년), 안휘(安徽) 선원현(仙源縣)의 거인(擧人) 왕치화가 북경으로 회시(會試)를 치러 와서 북경에 머무르게 되었다. 이번이 벌써 그에게는 4번째 낙방이었다. 여러 해동안 열심히 책을 읽었는데, 이런 결과가 나오다니, 왕치화로서는 비참한 생각이 들지 않을 수 없었다. .. 2009. 9. 16.
북경의 동부서귀(東富西貴) 글: 유앙(劉仰) "동부서귀(東富西貴)"는 북경성을 묘사하는 말이다. 그 뜻은 북경성의 동쪽에는 돈많은 사람이 비교적 많고, 서쪽에는 지위가 높은 사람이 비교적 많다는 말이다. "동부서귀"라는 말은 현상을 묘사하는 것일 뿐아니라, 역사적인 유래도 있다. 다만, 역사상 최초로 나온 "동부서귀"는 오늘.. 2009. 1. 10.
청나라 팔기(八旗)와 북경지명 글: 윤균과(尹鈞科) 해전구(海澱區) 청하진(淸河鎭)의 북쪽에, 서삼기(西三旗), 서이기(西二旗)라는 두 개의 마을이 있다. 창평구(昌平區) 동남부의 북칠가진(北七家鎭)에는 동삼기(東三旗), 동이기(東二旗)라는 두 개의 마을이 있다. 북경의 도시건설이 발전하고, 도시가 급격히 팽창하면서, 이 몇 개의 .. 2008. 11. 6.
장성과 운하 글: 홍촉(洪燭) "북경아 북경. 북쪽에는 장성(長城), 동쪽에는 운하(運河). 이는 두 개의 역사를 개괄하는 글자없는 기념비이다. 남쪽은 일망무제의 대평원이다" 이는 다른 도시와는 선명하게 구분되는 북경의 지리적인 특징이다. 필자의 생각 속에서 운하는 모성(母性)이고, 평원은 부성(父性)이다. 북.. 2008.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