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정치943

"러시아를 모델로 삼는다"는 것은? 글: 회하우(淮河雨)​1​여러분에게 책 한권을 추천하겠다: . 작자는 다론 아세모글루와 제임스 A. 로빈슨이다.​다론 아세모글루는 터키에서 태어났고, 나중에 영국과 미국에서 빛을 발하였으며, 현재 MIT의 경제학교수이고, 미국국가과학원회원 및 터키과학원회원이다. ​제임스 A. 로빈슨은 미국 하버드대학의 정치학교수이고, 아프리카, 남아메리카등지의 정치문제에 대하여 깊이있는 연구를 하고 있다.​두 사람은 로마제국, 마야도시국가, 중세기의 베니스, 소련, 라틴아메리카, 영국, 유럽, 미국과 아프리카의 많은 역사적 증거를 정리하면서, 왜 어떤 국가는 부유하고, 어떤 국가는 가난한지; 왜 국가는 부유한지 아닌지, 건강한지 아닌지, 식량이 충분한지 아닌지에 따라 나누는가? 문화, 날씨, 지리특징인가 아니면 정확한 .. 2025. 2. 2.
중국인들은 어느 나라로 이민을 가는가? 글: 재부취경로(財富取經路)​최근 하나의 통계자료가 인터넷에서 널리 전파되고 있다. 거기에는 중국인의 이민목적지 및 그 비율을 모아놓고 있다.이 도표에 나오는 수치는 권위있는 통계자료와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 그래도 비교적 객관적으로 중국인의 해외이민추세를 반영해주고 있다.​그리고, 만일 자세히 이 도표의 숫자를 본다면 아주 재미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이민가는 세 나라는 각각: 미국, 한국과 일본이라는 것이다.​이건 좀 아이러니하다. 이민을 가장 많이 가는 나라들이, 인터넷의 키보드워리어들이 가장 많이 욕하는 나라라는 것이.​1​최근 30년간, 중국이민을 가장 많이 받은 나라는 의문의 여지없이 미국이다.​이전의 유엔국제이민조직(IOM)이 공표한 에 따르면, 중국에서 미국.. 2025. 1. 23.
딩쉐샹(丁薛祥): 그는 왜 고위층권력투쟁의 촛점이 되었는가? 글: 호해(胡亥)​중공 20기 3중전회이래, 중국의 정국은 흔들리는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외부에서는 시진핑의 건강, 권력안정등에 대한 여러가지 추측과 논의가 나오고 있다. 해외여론은 이번 반년동안 이어지는 혼란현상에 대하여, 시진핑이 어떤 분야의 권력을 상실했다고 보거나 심지어 시진핑이 곧 병으로 사직할 것이라든지 혹은 조만간 정변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측까지 하고 있다. 일찌기 어떤 사람은 새로운 지도자그룹의 구성에 대하여 폭로한 바 있다: 딩쉐샹(丁薛祥)이 총서기를 맡고, 장여우샤(張友俠)가 중앙군사위주석을 맡고, 한정(韓正)이 국가주석을 맡는다는 것이었다. 이 새로운 '틀'에서 시진핑이 그동안 길러온 지강신군(之江新軍)과 민강구부(閩江舊部)의 핵심인물은 모두 배제되었다. 예를 들어 리창(李强)과 차.. 2025. 1. 16.
076강습상륙함으로 본 미중간의 군사력차이는...? 글: 심주(沈舟)​2024년말, 중국은 076강습상륙함의 진수를 목소리높여 선포했다. 다만 아직 시험을 거쳐야 배치될 수 있다. 중국군대는 현재 혼란에 빠져 있어서, 시급히 사기를 북돋울 필요가 있었고, 미리 076에 캐터필터와 어레스팅 기어를 장착하여, 중국의 소위 '전문가'들을 흥분시켰다. 그러나, 076강습상륙함은 여전히 미군의 강습상륙함의 복제품이고, 전투기를 탑재할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무인기로 대체해야 했다. 이는 미중간의 군사력차이를 드러내준다.​중국강습상륙함의 중대한 결함​미군의 현역 2척의 최신 아메리카급의 강습상륙함은 F-35B전투기를 탑재할 수 있으며 최대 20대까지 탑재가능하여 경항모로 변신하며, 모두 태평양전구에 배치중이다. 그중 아메리카호(LHA6)는 일본에 상주하고, 트리폴.. 2025. 1. 13.
홍군(紅軍), 팔로군(八路軍), 신사군(新四軍), 해방군(解放軍)의 구별 글: 봉황산거사(鳳凰山居士)​역사문헌을 살펴보면, 자주 홍군, 팔로군, 신사군, 해방군같은 단어를 보게 된다. 그렇다면 그것은 각각 무엇을 가리키는가?​홍군(紅軍)​중국토지혁명전쟁시기, 중국공산당이 영도하는 인민군대가 "홍군"이다.1927년, 황안현(지금의 호북성 홍안현)농민정부의 대문 양측에 걸린 대련에 '홍군'이라는 두 글자가 나타난 것이 중국역사상 최초로 '홍군'이라는 단어가 사용된 것이다. 이는 중국공산당이 영도하는 혁명무장을 가리킨다.1928년 5월 25일, 중국공산당중앙위원회는 전국각지의 공농혁명군을 정식으로 "홍군"으로 명명한다.1930년이후, 다시 "중국공농홍군(中國工農紅軍)"으로 개칭한다.그후, "중국공농홍군"은 계속 발전하고 확대되어 전후로 제1방면군(이전의 중앙홍군), 제4방면군, 제.. 2025. 1. 7.
시진핑 후계자의 "연막탄" 글: 두정(杜政)​중국지도자 시진핑은 나이가 이미 71세이고, 최근 들어 수시로 그의 건강이 심상치 않다는 소문이 돈다. 비록 그가 자발적으로 혹은 강제로라도 쉽게 하야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지만, 사람들은 자주 그의 후계자가 누구일지에 대하여 연구한다. 최근 들어 70후관리가 장관/성장급에 오르면서 다시 한번 시진핑의 '후계자'에 대한 논의를 불러왔다.​중국에서 선전업무를 담당해왔던 관찰가가 해외매체에 쓴 글에 따르면, 시진핑은 만일 여건이 허락되면 아직 2기를 더 할 것이라고 본다. 그렇다면, 70후 즉 이제 막 저장성대리성장이 된 중앙후보위원 류제(劉捷)가 정치국상위에 들어갈 가능성, 즉 시진핑의 후계자가 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본다. 다만 필자가 보기에는 너무 성급한 판단인 것같다.​"전국최연소.. 2025.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