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분석262

중국의 노비근성은 어떻게 뿌리내렸는가? 글: 사걸붕(史杰鵬) 공자는 일생동안 열국을 주유했고, 72군주에게 유세를 했다. 그러나 모두 성공하지 못했고, 마지막에는 쓸쓸히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것은 그의 학문이 시대요구에서 너무나 떨어져 있었다는 이유도 있지만, 그의 얼굴이 두껍지 못한 것도 이유가 된다. 그 외에 다른 원인도 물론 있.. 2009. 8. 1.
불평등조약 내용으로 본 각국의 성향 영국: 1842년 8월 29일에 맺은 남경조약을 보면, '배상'도 요구하고, '할지(割地)'도 요구하며, '통상(通商)'도 요구한다. 아주 체계적이고, 전면적이다. 다만, 영국은 절제심을 발휘했다. 제일 먼저 중국의 대문을 부숴서 열어제낀 나라이지만, 다른 나라에 비하여는 중국에서 상대적으로 적게 빼앗아 갔다.. 2009. 1. 14.
서생은 왜 제왕이 될 수 없는가? 글: 냉성금(冷成金) 이런 말이 있다. 중국고대역사상 "남방에는 문인이 나고, 북방에는 황제가 난다" 맞다. 굴원이래로 시인, 문학가, 화가는 강남에서 많이 났다. 강남재자(江南才子)는 천하에 유명하다. 사실, 고대에만 그러한 것이 아니라, 현대에도, 대작가는 대부분 남쪽에서 나왔다. 현대문학사의 .. 2009. 1. 14.
군신관계의 3가지 구조 글: 독서삼미(讀書三味) 대개 머리가 있는 군주는 신하들과의 관계를 아주 중시했다. 왕왕 이를 통하여 정권을 공고히 하고, 서민을 통치하는 정치수단으로 보고 이를 유지보호했다. 여기에도 배치가 필요하다. 총명한 군주의 방식은 이렇다: 군주라는 하나의 "점"이 모든 신하의 서로 다른 "점"으로 복.. 2008. 11. 3.
고대인들의 장수(長壽)에 관하여 글: 강효원(江曉原) 장생(長生)은 인류의 오래된 꿈이다. 이는 동양이나 서양이나 마찬가지이다. 우리가 오늘날 축하할 때 많이 쓰는 "영월불멸하라" "XX에 영원히 살아있으리라"는 등과 같은 말의 최초의 쓰임을 소급해서 거슬러 올라가면 모두 하나의 오래된 신념과 관련이 있다. 그것은 바로 고대인.. 2008. 11. 2.
중국인의 황당한 역사관 글: 요소원(姚小遠) 2008년 10월 5일, 북경만학회(北京滿學會) 회장이며, 백가강단(百家講壇)의 강연자중 한 명인 염숭년(閻崇年)이 무석 신화서점에서 판매서적에 대한 사인행사를 하고 있을 때, 한 젊은이에게 주먹으로 폭행당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폭행당사자는 경찰에 체포되었다. 폭행당사자의 동.. 2008.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