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분석262 고대 중국 양대 극비기술의 해외유출경위 글: 장계합(張繼合) 자기(瓷器)와 비단(絲綢)은 중국의 이대 발명품이다. 이 두 물건은 고대중국의 무역에서 '독문절학'이었다. 이것으로 벌어들인 황금과 백은이 상자를 이루었고, 이로 인하여 '자기의 나라', '비단의 나라'라는 명칭을 얻었다. 천하의 그 누가 '비단길(The Silk Road)'와 '자기길(The China Road.. 2007. 12. 7. 황제의 급여 글: 이개주(李開周) 황제시대때, 황제는 오너이고, 모든 관리는 그의 직원이다. 직원의 급여는 오너가 주는데, 오너의 급여는 누가 주는가? 오너는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므로, 급여는 받지 않는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대기업에서도 회장은 이익배당을 받는 외에, 급여도 받.. 2007. 12. 5. 중국왕조교체의 법칙 1. 황염배와 모택동의 요동대(窑洞對). 진시황이 육국을 통일한 때로부터 청나라가 신해혁명으로 멸망될 때까지, 2천1백여년간 많은 왕조가 일어났다 망하곤 하면서, 주마등처럼 바뀌었다. 전체적인 인상은 왕조의 흥망에 마치 어떤 순환주기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런 역사의 순환론은.. 2007. 11. 30. 황제(黃帝)와 역목(力牧): 술과 구정물의 법칙 글: 왕자력(王自力) 술 한 주걱을 구정물 한통에 넣으면, 여전히 구정물이다. 구정물 한 주걱을 술 한통에 넣으면, 술은 구정물로 바뀌어 버린다. 황제(黃帝) 때, 대외(大隗)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나라를 다스리는 능력이 뛰어났다. 황제는 그가 재주있다는 말을 듣고, 방명(方明), 창우(昌寓), 장.. 2007. 8. 27. "중화민족(中華民族)"이라는 용어는 누가 처음 쓰기 시작했는가? "중화민족"이라는 용어는 지금은 너무나 많이 알려져 있지만, 자세히 계산해보면 겨우 105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을 뿐이다. 이 말을 만들어낸 사람은 양계초(梁啓超, 량치차오)이다. 양계초가 "중화민족"이라는 단어를 만들어내기 이전에 중국인들은 기본적으로 현대적인 의미의 민족개념이 없었다. 심.. 2007. 8. 17. 서방이 중국보다 위생적이었는가? 글: 공경동(孔慶東) 서안외국어대학의 동애국(董愛國) 교수는 나와 함께 한국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강의한 적도 있고, 같이 노래부르기도 했고, 만두를 같이 만들기도 했다. 그리고, 영어문제에 있어서 나에게 적지 않은 도움을 주기도 했다. 최근 동교수는 그녀와 황건민(黃建民)이 공동으로 번역한 작.. 2007. 8. 7.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