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한국/한중관계70 저우용캉사건과 북중관계 글: 저우샤오후이(周曉輝) 얼마전에 중국 외교부 부부장 청궈핑(程國平)은 기자회견에서 기자가 러시아 5.9경축행사동안 '북중수뇌회담이 이루어질 것인지'를 묻는데 대하여, '구체적인 상황을 보아야 한다'고 답변했다. 즉, 시진핑과 김정은의 회담은 확정되지 않았다는 말이다. 모든 것.. 2015. 2. 24. 중국공산당과 조선공산당의 관계 글: 심지화(沈志華) 20세기의 대부분 기간동안 중국과 북한 양국은 도대체 어떤 관계였을까? 절대다수의 중국인의 인상 속에서, 1949년이래 북중관계는 중소관계와 큰 차이가 있다: 중소관계는 경계가 분명하다. 전10년간 소련 큰형님은 모든 것이 좋았다. 신문뉴스에는 찬송하는 보도만이 .. 2014. 7. 17. 한국전쟁때 중국은 돈을 얼마나 썼는가? 작자: 미상 1950년 10월 상순과 중순, 북한은 위기일발에 처한다. 10여일동안 중공중앙은 다시 회의를 개최하여 반복하여 토론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여러가지 곤란한 점을 들어 출병하지 말 것을 주장한다. 소련은 공군을 출동하는 문제에서 계속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나타낸다(처음에는 3.. 2014. 7. 17. 김정은에게 남은 시간은 많지 않다. 글: 호각조(胡覺照) 전제사회에서 황권이 지고무상인 이유는 군권(軍權)이 지탱해주기 때문이다. 수중에 군대가 있으므로 황제라는 조폭두목의 자리는 흔들리지 않는 것이다. 군권이 지탱해주지 않는다면 황권의 가치는 마이너스이다. 보통백성이 되고 싶어도 되지를 못한다. 이것은 중.. 2014. 1. 15. 2014년 북한의 법정공휴일 글: 진전요(秦全耀) 2014년 북한의 법정공휴일은 15일이다. Daily NK 가 최근에 입수한 조선외문출판사가 발행한 2014년 달력을 보면, 북한은 김일성, 김정일 생일등 주요 국가기념일을 법정공휴일로 지정했다. 사람들이 관심을 끈 김정은 생일(1월 8일)은 법정공휴일에 포함되지 않았다. 북한 .. 2014. 1. 14. 장성택 처형과 북중관계 글: 순우안(淳于雁) 조선당국은 돌연 보기드물게 '김씨앙조"가 최고위층의 2인자, 조선국방위부위원장이며 대외적으로 '섭정왕'으로 간주된 김정은(金正恩)의 고모부 장성택(張成澤)을 주살하기로 결정했다는 뉴스를 보도한다. 북경당국은 바로 '김씨왕조'의 이 특대형 살인사건을 보도.. 2013. 12. 24.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