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문학299 수호전: 양산박의 파벌분석 글: 송승리(宋勝利) 양산박의 최대파벌은 의심할 여지없이 송강(宋江) 자신의 파벌이다. 송강의 적계는 3부분을 구성된다. 첫째는 그의 적계의 적계이다. 여기에는 송강이 양산박에 들어가기 전의 친구형제인 화영(花榮), 오용(吳勇), 주동(朱仝), 뇌횡(雷橫), 그의 친동생인 송청(宋淸), 그.. 2012. 9. 19. 척설오추(踢雪烏騅): 황제가 하사한 천리마 글: 안입지(安立志) 최소한 호복기사(胡服騎射)부터, 전마(戰馬)는 군인들이 전쟁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반려였다. 북방의 흉노, 거란, 여진, 몽골등 민족이 중원을 통치할 수 있었던 것은, 심지어 유라시아대륙을 종횡할 수 있었던 것은 주로 기병(騎兵)이 강대했기 때문이다. 이 전통은 냉.. 2012. 8. 19. <수호전>에 나오는 몽한약(蒙汗藥)의 수수깨끼 글: 유창춘(劉昌春) 만다라(曼陀羅)는 상서로운 꽃이다. '만다라'라는 이름은 종교전설, 신화이야기 및 대량의 의학문헌에서 빈번하게 출현한다. 그래서, 동서방의 문화속에 만다라는 이미 간단한 꽃이름이 아니다. 자신의 독특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수호전>의 몽한약은 주요성분.. 2012. 8. 16. 왕영하(王映霞): 항주제일미인과 세 남자 이야기 글: 방초아(芳草兒) 중화민국시절, 현대문학사상 왕영하는 대명이 자자하다. 그녀와 욱달부(郁達夫)와의 아야기는 '현대문학사상 가장 유명한 사랑이야기'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왕영하는 당시 '항주제일미인'으로 불리웠고, 당시 사람들은 그녀에게 "발제백(荸薺白)"이라는 별호를 .. 2012. 6. 19. 임대옥(林黛玉)의 유언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글: 홍촉(洪燭) 임대옥이 가부(賈府)에 들어온 날에서 바로 훌쩍 뛰어 마지막 날로 가보자. '바로가기' 버튼을 눌러서 제97회를 보자. 제목은 <임대옥분고단치정, 설보채출규성대례>이다. 보라. 남의 기쁜 날은 나의 슬픈 날이다. 제98회 <고강주혼귀이한천, 병신영루쇄상사지>에서 .. 2012. 5. 16. 중국인들은 왜 글에 자신의 서명을 남기지 않았을까? 글: 주운(周雲) 자신이 글을 쓰면서, 다른 사람의 이름을 쓴다? 이런 일은 계속 있어왔다. 그리고 고대에는 현대보다 더욱 자주 나타났다. 아주 보편적인 현상이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장지동(張之洞)은 그래서 이런 말도 했다: "진위를 한번 나누기 시작하면, 고서의 절반은 버려야 한다.".. 2012. 5. 2.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