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통감56 무측천은 정말 자신의 친 딸을 죽였을까? 글: 위석아(危石兒) 안정사공주(安定思公主)는 역사상 사료에 기록이 있는 가장 단명한 공주이다. 그녀는 당고종 이치와 무측천의 사이에 태어난 딸이다. 출생한 후 한달만에 요절하니, 그녀는 정치투쟁의 희생품이다. 그녀가 어떻게 죽었는지는 아직까지 정설이 없다. 대다수의 사람은 .. 2015. 2. 10. 무측천은 왜 이씨에게 천하를 돌려주었는가? 글: 위석아(危石兒) 재초2년(690년) 구월 초구일, 많은 여론조작을 통하여 분위기를 형성한 후에, 무측천은 백관과 황실, 종실인척등 육만여명이 보는 가운데 황제의 보좌에 오른다. "신성황제"라 칭하며, 국호를 당(唐)에서 주(周)로 바꾸여 이당의 황권을 끝이 난다. 그리고 이현은 황위후.. 2015. 1. 14. 당중종독살의 수수께끼 글: 문방장궤(文房掌櫃) 신구 <당서>와 <자치통감>에 따르면, 당중종 이현(李顯)은 독상당했다. <자치통감>에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산기상시 마진객은 의술로, 광록소경 양균은 요리를 잘애서 모두 궁정을 출입했다. 위후와 사통했고, 이 일이 누설되면 주살당할까봐 두려워.. 2015. 1. 14. 낙빈왕(駱賓王)의 최후에 관한 수수께끼 글: 진령신(陳令申) "시간금일지성중(試看今日之城中), 경시수가지천하(竟是誰家之天下)"(한번 봐라 오늘날의 성을. 도대체 어느 집안의 천하인지?)라는 문구로 무측천의 얼굴색을 바뀌게 만들었던 낙빈왕, 그는 초당(初唐)의 사단에서 활약했던 인물로, '초당사걸(初唐四傑)"의 한 명이다.. 2014. 9. 8. 중국전통문화의 변증법적 사고 글: 축화군(祝和軍) 민족문화의 독특성과 우월성은 드러나는 세계관과 가치관에서 체현될 뿐아니라, 숨어있는 사고방식에도 뿌리박고 있다. 인류문명의 진전에서, 중화문명이 인류고대문명중 유일하게 지금까지 연속되는 문명이 된 이유는 많은 정도에서 중국인의 문제사고의 방식과 .. 2014. 4. 29. 사서에서 전위(典偉)는 여포(呂布)보다 용맹하다 글: 가동(佳桐) 나관중의 <삼국연의>에서 여포는 공인된 제일용장(第一勇將)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쨌든 소설이다. 그럼 사서에서는 어떨까? 당시에 더욱 용맹한 장수가 있었을까? 여포의 용맹함은 절대로 그냥 만들어낸 것이 아니다. <삼국지>의 작자인 진수(陳壽)는 이렇게 말했.. 2014. 4. 4.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