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치35

당태종 이세민의 자녀들 작자: 미상 당태종 이세민은 626년에 즉위한 후 24년간 재위했다(627-649). 이세민은 중국역사상 보기드문 타천하(打天下)도 할 줄 알고, 치천하(治天下)도 할 줄아는 명군이었다. 그러나 권력을 쟁탈하는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두 형제를 죽이고, 부친을 퇴위시켰고, 여러 아들을 죽게 만들.. 2013. 4. 13.
무측천(武則天)은 후궁 준남 삼천을 거느렸는가? 글: 관첩(關捷) 역사를 색정으로 덧칠하여 글을 쓰고 영화드라마를 찍어서 고액의 이윤을 노리는 것은 이미 새로울 것도 없는 일이다. 이건 문제가 아니다. 문제는 이런 것이 출판도 되고 영화드라마로 찍혀지고 있다는 것이다. 새로 나온 책의 글을 하나 읽어보았는데, 내용에 무측천이 .. 2013. 3. 13.
정관지치(貞觀之治)의 진상 글: 역사상나사사(歷史上那些事) "정관지치"는 중국인들이 영원히 잊지 못하는 위대한 시대이다. 이 시대에 인민들은 자신의 생업에 편안하게 종사하고, 태평성대를 노래하고 춤추었으며, 황제는 자상하였으며, 백관들은 자신의 직분을 잘 지켰다. 쌀독 안에는 다 먹을 수 없을 만큼이 쌀.. 2013. 2. 4.
당태종의 14명의 아들 글: 일득재주(一得齋主) 당태종 이세민은 중국역사상 일대명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아들을 얘기하자면, 그들은 대부분 싹수가 없었다. 결말도 아주 비참했다. 그중 3명은 피살당하고, 3명은 자살했으며, 3명은 요절했고, 1명은 유폐되었다. 2명은 서인으로 폐해진 후 다시 유배.. 2012. 8. 15.
이각(李恪): 당태종이 가장 사랑한 아들 글: 장걸(張杰) 두 왕조의 혈맥이 그에게 가져다준 것은 영예가 아니라, 재난이었다. 만일, 운명을 바꿀 용기가 없다면, 그저 운명의 수레바퀴에 깔릴 뿐이다. 그는 명문출신으로, 대당(大唐)의 황자(皇子)이면서, 전조인 대수(大隋)의 황손(皇孫)이기도 하다. 그는 두 왕조의 황족혈.. 2012. 2. 6.
무측천의 건릉도굴시 나타난 괴현상 글: 예방육(倪方六) 무측천과 그녀의 남편인 당고종 이치가 합장된 묘인 건릉(乾陵)에 대하여 최근 매체에서 보도가 있었다. 전해지는 바로는 관련 전문가가 최근 들어, 국가문물국, 섬서성문물국, 건릉박물관등 부분에서 건릉의 문화유적을 발굴할 것인지를 놓고 다시 연구하고 .. 2012.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