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치35 천금공주(千金公主): 난세를 살아가는 법... 글: 모운서(慕雲舒) 천금공주는 당고조 이연(李淵)의 딸이고, 당태종 이세민의 여동생이며, 당고종 이치의 고모이다. 그녀는 역사상 한가지 황당한 일을 저지른다. 683년, 당고종 이치가 죽고, 무측천이 태후가 되어 조정을 장악한다. 이때부터 이당종친에 대하여 첫번째 숙청을 시작하다. .. 2018. 3. 6. 이성기(李成器): 황제의 형으로 죽지 않은 인물... 글: 장금(張嶔) 고금중외에 만일 어느 신분이 겉으로 보기에는 아주 존귀하지만, 실제로는 고위험군에 속할까? 답안은 '황제의 형(皇兄)'이다. 이 신분은 얼마나 고위험군인가? 고대사를 보면 황위를 다투는 경우에 형이라는 이름을 달면 비참하게 죽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뭐가뭔.. 2018. 2. 26. 소정방(蘇定方): 3개 국가를 멸망시킨 당나라의 전신(戰神) 글: 정호청천(鼎湖聽泉) 기실 희극소설이나 TV드라마연속극에서 소정방은 가장 심하게 왜곡되어 있는 수당시대 인물중 하나이다. 왜냐하면 그는 <수당연의(隋唐演義)>의 일곱번째 호한(好漢) 나성(羅成)과 원수지간이기 때문이다. 그는 비열하고 독랄한 수단으로 나성과 나성의 부친 .. 2017. 12. 21. 이임보(李林甫)는 간신인가? 글: 독서삼매(讀書三昧) 이임보는 간신인가? 황제시대에 황제는 개인기업의 오너와 같다. 황제 수하의 대신은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재상이라 하더라도, 역시 황제를 위하여 일하는 머슴이다. 그래서, 황제의 눈에, 신하를 간(奸)과 불간(不奸)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그저 충(忠)과 불충(不.. 2017. 1. 29. [황자쟁위술] 부저추신술(釜底推薪術) 상제역무패床第易誣牌) 황위계승권은 황제가 주는 것이므로, 궁중정변이라든지, 무력찬탈과 같은 경우를 제외한 일반적인 경우에 있어서 관건은 황제의 뜻이다. 즉, 황자중 누구든지 황제의 눈에서 벗어나면 그는 후계자의 반열에서 제외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쟁상대의 수를 감소시키려면, 반드시 핵심역.. 2015. 8. 25. [황자쟁위술] 이퇴위진술(以退爲進術) – 후발제인패(後發制人牌) 이런 말이 있다: “고개내민 새가 총을 맞고(槍打出頭鳥), 솟아나온 나무가 바람에 쓰러지고, (風摧秀林木), 튀어나온 서까래가 먼저 썩는다(露頭椽子先腐朽).” 그 이유는 다른 사람들보다 앞서가면 위험이나 곤란에 처하는 경우에 혼자서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주원장이 휘주를 .. 2015. 7. 27.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