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치35 중국의 "천황(天皇)" 글: 지백수흑(知白守黑) 당금세계에서 국가원수는 대통령, 주석, 국왕으로 칭한다. 단지 일본에서만 '천황(天皇)'이라고 부른다. 사람들은 천황이라는 글자를 보면 자연스럽게 일본을 떠올린다. 기실, 천황이라는 단어는 일본에 특유한 것이 아니라, 중국역사에도 천황들이 있었다. 이들 .. 2015. 3. 4. 무측천이 황제로 가는 길의 가장 위험했던 순간은? 글: 복녕객(福寧客) 무측천은 어려서부터 미인이었다. 부친 무사확은 목재상인으로 반수(反隋)에 공이 있고 정치적업적이 있는 고위관리이다. 그러나 그런 출신이라 하더라도, 무측천이 황실국친의 울타리안으로 끼어들어가서, 황비, 황후가 되고 황제에 오른다는 것은 거의 완성하기 불.. 2015. 2. 10. 이적(李勣): 충의(忠義)와 원활(圓滑) 글: 진한성(陳漢成) 이적의 충의는 본받을 만하지만, 그의 원활은 취할 게 못된다. 그가 원활하게된 것은 환경이 그렇게 만든 것이고, 부득이하게 취한 보신의 방법이다. <수당연의>에 서무공(徐茂公)은 계략을 써서 함정에 빠트릴 수도 있고, 앞 일을 귀신처럼 예측하여 지다성(智多.. 2015. 2. 10. 수당(隋唐)의 4명의 황제는 왜 고구려를 정복하고자 했는가? 글: 천행건(天行健) 고구려를 신복(臣服)시키지 못한 것은 이세민의 일생에서 최대의 유감이었다. 심지어 그는 죽기 전에, 어떻게 고구려를 정복할 것인지를 계획하기도 했다. 사학계의 많은 사람들은 이세민이 고구려에 대한 정복전쟁을 벌인 것은 그의 인생에서 최대의 실패작이라고 .. 2015. 2. 10. 무측천은 정말 자신의 친 딸을 죽였을까? 글: 위석아(危石兒) 안정사공주(安定思公主)는 역사상 사료에 기록이 있는 가장 단명한 공주이다. 그녀는 당고종 이치와 무측천의 사이에 태어난 딸이다. 출생한 후 한달만에 요절하니, 그녀는 정치투쟁의 희생품이다. 그녀가 어떻게 죽었는지는 아직까지 정설이 없다. 대다수의 사람은 .. 2015. 2. 10. 역사상의 무측천: 공어심계(工於心計), 심한수랄(心狠手辣) 글: 고회민(高會民) 무씨(武氏), 통상적으로 무측천(武則天) 혹은 무후(武后)라고 칭하며, 당중종, 당예종때 황태후로 임조칭제(臨朝稱帝)하는 기간동안 이름을 "무조(武曌)"라 고친다. 그녀는 중국역사상 유일하게 군권(君權)을 장악하여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여황제이다. 무측천은 병주(.. 2015. 1. 14.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