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극용15 부언경(符彦卿): 세 딸이 황후에 오른 송나라 명장 글: 이자지(李子遲) 부언경(898-975), 자는 관후(冠侯), 완구(宛丘, 陳州라고도 부름. 지금의 하남성 회양) 사람. 오대 및 북송초기의 명장. 일찌기 여러번 요나라군대와 전투를 벌임. 무장세가출신으로 조부는 오왕(吳王) 부초(符楚), 부친은 진왕(秦王) 부존심(符存審, 일명 李存審, 이극용의 .. 2015. 1. 18. 주온(朱溫)은 어떻게 권력을 잡았는가? 글: 장손아문군(長孫蕥文君) 주온은 행운아였다. 대당왕조가 황소의 난을 토벌하는 과정에서, 항장(降將)인 그는 전략요지인 동주(同州)를 조정에 두손들어 바쳤다는 것으로 인하여 선무절도사(宣撫節度使)의 관직을 얻는다. 선무(변주)는 중원에 위치해 있고, 서로는 동도 낙양을, 동.. 2014. 10. 2.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 며느리의 이혼사유 글: 위석아(危石兒) 지금의 사회를 옛날의 사회와 비교하면, 여자의 지위는 완전히 다르다. 현재의 여자들이 이혼을 요구하는 것은 자주 볼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고대에는 달랐다. 여자가 남자에게 시집간 후, 남자들은 처를 버릴 수 있었다. 그러나 여자들이 적극적으로 이혼을 제기할.. 2014. 9. 8. 황소(黃巢)의 최후 글: 장손옹문군(長孫雍文君) 1. 이극용(李克用)이 진주(陳州)를 원조하여, 황소를 격패시키다. 황소는 진주를 공격하는 동시에 주위 수십개 주를 점령한다. 진주성 아래에서 반란군은 매일 '인육건량(人肉乾糧)을 먹으면서 윤번제로 공성을 했다. 300여일의 악전고투를 거쳤지만, 조주(趙.. 2014. 8. 26. 중국역사상 화살에 맞아죽은 4명의 황제 글: 진령신(陳令申) 사람들에게 무한한 동경을 불러일으키는 중국황제왕조는 2000여년의 비바람을 거치면서 300여명의 황제를 배출했다. 그중 비정상적 사망을 맞이한 황제도 적지 않다. 진시황은 조고에게 죽임을 당했고, 당태종 이세민은 술사들이 만든 '선단'을 과다복용하다가 죽었다... 2014. 4. 4. 장전의(張全義): 오대십국, 한 토호의 생존법칙 글: 진사황(秦四晃) 장전의은 당시 절대적인 갑부였다. 이름을 사방에 떨치는 업계의 큰손이고 호풍환우하는 경제계의 우두머리였다. 당나라말기에서 후당(後唐)에 이르기까지 3조의 황권교체를 겪었고, 거기에 황소(黃巢)의 대제정권(大齊政權)까지 추가한다면 4개왕조를 거친 셈이다. .. 2014. 2. 6.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