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화단41 북양총리 조병균(趙秉鈞)은 왜 원세개에게 암해(暗害)를 당했는가? 글: 장부걸(張溥杰) 조병균은 자가 지안(智安)이고 하남 임여(臨汝) 사람이다. 1859년에 태어나서 1914년에 사망한다. 그의 신세내력은 상당히 전설적이다. 상당히 "이 형님은 하나의 전설이다"라는 대단한 기운이 느껴진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그는 "어려서는 유랑아로 성이 무엇인지도 .. 2014. 1. 14. 의화단(義和團)은 왜 반란을 일으켰는가? 글: 풍학영(馮學榮) 이 세상이 문제는 전부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최소한 절대다수의 문제는 본질적으로 말해서 경제문제에 다름아니다. 겉으로 드러나든 아니든간에. 의화단은 "부청멸양(扶淸滅洋)"의 기치를 내걸고, 거기에는 아마도 서양인에 대한 원한의 감정도 들어있겠지만, 사료.. 2013. 12. 4. 중국으로 돌아온 모리슨문서 글: 이양(李楊) 1894년 2월 11일, 모리슨(George E. Morrison, 중국명 莫理徇, 1862-1920)은 모친이 부쳐준 40파운드를 가슴에 품고, 과피모(瓜皮帽)와 가짜 변발을 하고 상해에서 출발하여 장강을 거슬러 오라갔다. 중국내 첫번째 여행을 시작한 것이다. 이날 그는 일기에 이렇게 적었다: "한 외국인이.. 2013. 11. 10. 영년(英年): 청나라말기의 황실풍수대가 글: 포강객(浦江客) 광서24년(1898년) 팔월 초엿새, 서태후는 돌연 정변을 일으켜, 변법을 추진하던 광서제를 영대에 연금시키고, 일체의 행정을 모조리 폐하고, 훈정(訓政)이라는 명목으로 다시 최고권력을 장악한다. 그러나, 기실 이전의 광서23년에 대권을 손에서 놓치고 싶어하지 않던 .. 2013. 8. 15. 부준(溥儁): 청말 대아거(大阿哥)로 황위계승자가 되었던 인물 글: 상한(桑寒) 청나라말기, 서태후는 온갖 방법을 다 써서 구차하게 정권의 목숨을 연장하고자 하였다. 가경제이후, 청왕조는 황태자를 둔 적이 없다. 황태자를 두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직접적으로 국가의 장래 주인을 결정하는 일이다. 서태후는 '무술변법'이후 광서제를 멸시한다. 자.. 2013. 8. 15. 의화단(義和團)은 왜 화북(華北)에서 성행했는가? 글: 오구(吳鉤) 1900년 8월, 경자(庚子)년, 서태후(자희태후)는 두번째로 황망하게 북경성을 도망쳐 나가서, "서수(西狩)"를 하러 갔다. 제1차 "서수"는 40년전에 일어났다. 1860년, 영불연합군이 경사로 쳐들어왔을 때이다. 이번에 다시 "사냥"의 명의로 도망친 것은 바로 팔국연합군이 북경을 .. 2013. 7. 12.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