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화단41

[황자쟁위술] 양호상쟁술(兩虎相爭術) 이적제적패(以敵制敵牌) 이원길편 한나라에서 흉노를 대적할 때 집금오(執金吾) 경병(耿秉)은 이런 계책을 올린다: “옛날 한무제때 흉노를 정벌하려 하였으나 천시(天時)를 만나지 못해 성사시키지 못했습니다. 이제 다행히 하늘의 도움으로 흉노에 내분이 일어났으니, 이이벌이(以夷伐夷)를 하면 국가에 이로움이 적지 .. 2015. 8. 25.
일본의 제왕지도는 중국의 제왕지도와 어떻게 다른가? 글: 정만군(程萬軍) 허리에 전도를 차고, 완전무장을 하며, 눈빛은 강인하고, 냉혹교만하다. 이는 메이지시기 일본의 각 학교에 보내어진 젊은 일본 메이지천황의 사진모습이다. 이는 일본역대천황의 표준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런 이미지는 사람들에게 냉혹과 폭력이라는 이미지를 .. 2015. 6. 30.
역사상의 "민교충돌(民敎沖突)"과 오늘날의 홍콩 글: 유앙(劉仰) 백여년전에 독일의 주중공사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나라(독일을 가리킴)가 산동에서 경제활동을 전개하는 것과 더불어, 현지주민중 '추종자'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도는 가장 좋은 대상이다." 이 말은 아주 분명히 말하고 있다. 외국종교를 믿는 것과 미국이익은 .. 2014. 11. 1.
중국 고대의 공성전(4): 중형무기 공성전에서, 원거리무기로서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궁(弓)과 노(弩)를 제외하면, 일부 특수한 중형무기(重型武器)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한 가지는 거형상노(巨型床弩)이다. 이런 상노는 발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고 모두 복궁으로 충분한 탄력을 제공한다. 이런 상노의 발사메커.. 2014. 7. 17.
진실한 중일교악사(中日交惡史)를 마주할 용기가 있는가? 글: 풍학영(馮學榮) 중국을 침략한 일본군은 중국에서 사람을 너무 많이 죽였다. 이것은 객관적인 사실이다. 지금 중국청년들은 '일본'이라는 두 글자만 나오면 이를 간다. 원한의 근원은 바로 여기에 있다. 이것은 충분히 이해할만한 일이다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중국인의 일본에 대한 .. 2014. 5. 29.
신해혁명과 유언비어 글: 유흔(劉欣) 유언비어는 현재에도 핫이슈이다. 어룡혼잡(魚龍混雜)의 인터넷세계에서, 유언비어는 없는 곳이 없다. 심지어 진화화(秦火火)같은 전문적인 유언비어제조자까지 나타나서 확실히 사람들의 시야를 넓혀주었다. '유언비어'의 '직업화'추세는 갈수록 더하면 더하지 덜하지 .. 2014.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