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화단41 "전기새마(田忌賽馬)"에 관한 대화 글: 연비(燕飛) 친구: 연비 넌 너무 극단적이다. 손빈(孫臏)은 지모가 뛰어나서 재주로 제위왕(齊威王)을 이긴 것이다. 그런데 왜 너는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 자라고 말하는 것이냐. 다시 말해서, 제위왕은 바보가 아니다, 만일 전기와 손빈이 정말 트릭을 쓴 것이라면 제위왕이 어찌 그.. 2018. 8. 14. 장덕성(張德成): 한 의화단 두목의 죽음 글: 기차시도(汽車視圖) 19세기말, 유럽열강이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고, 해외식민지를 개척할 때, 중국인민은 권법을 열심히 배우고 있었다. 직예 고비점(高碑店) 조장촌(趙張村)의 어부인 장덕성은 어느 날, "왕후장상에 씨가 있느냐"는 생각이 들어, 가족을 내버려두고 의화단의 대사형, .. 2018. 7. 28. 삼대참안(三大慘案)으로 본 의화단사건(義和團事件)의 배후 글: 연비(燕飛) 오랫동안, 전체 국가와 민족에게 거대한 재난과 굴욕을 안겨다준 의화단운동은 서방침략에 저항한 애국주의운동으로 미화,포장되어 왔다. 그러나, 사실상 1900년의 이 중국북방을 석권한 운동을 살펴보면, 마사(馬士)가 <중화제국대외관계사>의 통계에 따를 때, 의화단.. 2018. 7. 24. 청말삼도(淸末三屠): 관도(官屠), 민도(民屠), 전도(錢屠) 글: 역사상적나점사아(歷史上的那點事兒) 청나라말기에 3명의 권세가 컸던 봉강대리(封疆大吏, 지방장관)가 있는데, "청말삼도"라 불리웠다. 그들은 각각 양광총독(兩廣總督) 잠춘훤(岑春煊), 산동순무(山東巡撫) 원세개(袁世凱), 호광총독(湖廣總督) 장지동(張之洞)이다. 관도 잠춘훤 잠.. 2018. 7. 13. 의화단(義和團)사건을 되돌아본다 (3) - 중국민중 3. 중국민중 천진은 서방선교의 중점지구중 하나이다. 그리고 의화단운동이 가장 격렬했던 지역중 하나이다. 천진에서는 일찌기 이런 사건이 일어난 바 있다. 서양종교를 믿는 신도들이 서양종교를 믿지 않는 평민들과 분쟁이 일어나서 지방관청에서 소송을 벌이게 된다. 관청은 선교사.. 2016. 2. 29. 의화단(義和團)사건을 되돌아본다 (2) - 청나라정부 2. 청나라정부 의화단운동 후기는 청나라정부의 지지와 일정한 관계가 있으므로, 당시의 관청도 '구외배외'로 지목받았다. 아래에는 "협애구외(狹隘仇外)'하는 백성이 있고, 위에는 '맹목배외(盲目排外)'하는 고관이 있었으니, 한바탕의 재난은 피할 수가 없었다. 오늘날 의화단운동에 대.. 2016. 2. 29.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