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수29

주원장의 자격지심 글: 유진(庾晋) 주원장은 명나라의 개국황제이며, 중국역사상 걸출한 정치가중 한 명이다. 같은 개국황제인 유방, 유수, 사마염, 이세민, 조광윤등은 상대적으로 관용적이고 통이 크며, 공신들을 잘 대했다. 그러나, 주원장은 중년말년에 계속하여 포악한 행동을 저지른다. 이것은 주원장.. 2013. 11. 10.
중국고대 유언비어역사상의 "4대발명" 글: 조염(趙炎) 유언비어에도 역사가 있는가? 당연히 있다. 그리고 이천여년이나 된다. 연원이 길다고 말할 수 있다. 유언비어에는 유언비어 만들기와 퍼트리기가 있다. 중국고인들은 유언비어를 만드는 것을 "요(謠)"라고 불렀고, 유언비어를 전파하는 것을 "착(諑)"이라고 불렀다. 합.. 2013. 7. 12.
경시제(更始帝) 유현(劉玄) 글: 몽고창랑(蒙古蒼狼) 유현(劉玄)은 원래 망명객이다. 유현의 동생이 다른 사람에게 피살당한다. 유현은 복수를 하고 싶었는데, 그 자신은 무공이 없었다. 그래서 협객을 사귄다. 그러나 사람을 잘못만나서, 그 협객은 그를 위해서 복수를 해주지 않았을 뿐아니라, 죄를 범하여 유현까지.. 2013. 4. 13.
유언(劉焉): 동한말 난세의 원흉 글: 섭지추(葉之秋) 동한말기의 난세를 얘기하자면, 일반 사람들은 항상 동탁(董卓)을 떠올린다. 확실히 동탁이 입경하여 한나라황제를 폐위시키고 새로 세운 것은 동한이 쇠망으로 가는 중요한 사건이다. 천하의 제후들은 동탁을 통하여 한 가지 이치를 확실히 깨달았다. 동탁처럼 아무.. 2012. 8. 15.
보이보(薄一波)가 남긴 부정적 유산 글: 여이위(余以爲) 어떤 조직이건 성문(成文), 불문(不文)의 원칙이 있다. 중국공산당의 성문조항은 무시해도 된다. 대부분은 고의로 애매하게 표현하였기때문에 아무렇게나 해석할 수 있기때문이다. 진정 역할을 하는 것은 불문의 원칙이다. 잠규칙(潛規則)이라 부를 수도 있다. 그중의 .. 2012. 3. 27.
광무제의 두 황후: 음려화(陰麗華)와 곽성통(郭聖通) 글: 사문(思文) 서한말기 하남 신야(新野)에 한 거부가 있는데, 성이 음(陰)씨이다. 전해지는 바로는 춘추전국시대의 명상 관중(管仲)의 후예라고 한다. 관중의 칠대손인 관수(管修)가 제나라에서 초나라로 가서, 음대부(陰大夫)에 봉해진다. 이때부터 '음'을 성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진한.. 2012.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