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수29 괴뢰황제 유분자(劉盆子): 신하들에게 퇴위하게 해달라고 눈물로 호소하다. 글: 풍전사감(瘋癲史鑒) 이런 말이 있다. 털뽑힌 봉황은 닭보다 못하다고. 서한 말기, 번숭(樊崇)은 산동 거현(莒縣)에서 적미군(赤眉軍)을 이끌고 거병했다. 반군은 용맹하게 싸워서 연전연승하며, 규모를 계속 확대해서 장안 부근까지 쳐들어간다. 승리를 눈앞에 두었는데, 병사들은 피.. 2018. 11. 21. 봉선(封禪): 황제의 최고 영예 글: 천지사화(天地史話) 중국인은 하늘을 신봉했고, 오악(五嶽)은 하늘에 가장 가까운 곳으로 여겨졌다. 태산에 봉선하는 것은 하늘에 대한 존중이다. 그러나, 역사상 겨우 6명의 황제만이 태산에서 봉선을 했다. 전설에 따르면 천지를 연 반고가 죽은 후, 그의 머리와 사지는 오악(五嶽)이.. 2018. 10. 24. 유방(劉邦)의 신비한 신세내력 (1) ; 부친은 누구인가? 글: 정보(程步) 유방은 한(漢)왕조의 개국황제이고, 중앙집권 봉건전제국가형태의 창시자이다(진시황이 창립한 것은 군주입헌제의 국가체제이다). 유방이 건립한 유씨 한왕조는 기원전206년부터, 12대를 이어져 8년까지 214년간 존속하니 역사에서 '서한(西漢)'이라 부른다. 나중에 왕망(王.. 2018. 10. 23. 유수(劉秀): 왜 신분도 고귀하지 않고, 뜻도 크지 않은 그가 동한을 개국할 수 있었을까? 글: 역사변연(歷史邊緣) 유수는 동한의 개국황제이다. 역사에서 광무제(光武帝)라 칭한다. 역사상 광무제 유수에 대한 평가는 아주 노파. 그는 위로는 천명을 받아, 혼란을 수습하여 바로잡아 천하를 안정시키고, 한 마음으로 국가의 진흥을 꾀했으니, "중흥지주(中興之主)"라는 것이다. .. 2018. 7. 2. 왕희지(王羲之)의 두 아들 혼인으로 본 "행복" 글: 임염청추(林炎淸秋) 왕희지에게는 7명이 아들이 있었다. 비록 성격이 서로 달랐지만, 서법(書法)은 모두 부친의 진전(眞傳)을 이었다. 모두 재능이 뛰어나고 실력이 좋았다. 그 중에서도 일곱째 아들 왕헌지(王獻之)의 조예가 가장 뛰어났다. "아버지의 영화(靈和), 아들의 신준(神駿)은.. 2018. 6. 22. 강골인물 부찰(傅察): 채경의 사위도 거절하고, 여진태자에게 무릎꿇기고 거절하다. 글: 효풍모우(曉風暮雨) 금나라이 침략을 막는 전쟁과정에서 무수한 송나라의 관리들이 목숨을 잃었다. 그러면 그 중에서 최초로 순국한 송나라관리가 누구인줄 아는가? 그는 일찌기 과감하게 권신 채경의 사위되기를 거절한 바 있고, 여진이라는 강적 앞에서 머리가 잘릴 지언정 무릎은.. 2018. 6. 22.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