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선51

무후사(武侯祠)는 왜 성도(成都)가 아닌 면현(勉縣)에 두었을까? 글: 호각조(胡覺照) 여기에서 먼저 설명할 일은 현재 성도의 무후사는 원래 소열묘(昭烈廟), 즉 유비에 제사지내는 묘였다. 단지 나중에 무후사로 바꾸었을 뿐이다. 서촉청권이 공식적으로 결정한 무후사는 바로 한중(漢中)이 면현(勉縣) 무후묘(武侯墓) 원소재지에 있었고, 그후에 묘와 .. 2015. 2. 10.
3건의 사례로 본 제갈량의 "법치" 글: 호각조(胡覺照) 제갈량의 치국에 대하여 자고이래로 평가가 아주 높다. 진수는 <삼국지.제갈량전>에서 이렇게 썼다: "개성심(開城心), 포공도(布公道), 충성을 다하고 이로운 일을 한 자는 원수라도 반드시 상을 내렸고; 법을 어기도 태만히 한 자는 친하더라도 반드시 벌을 주었다.. 2015. 2. 10.
삼국시대 공고진주(功高震主)한 사람들의 서로 다른 최후 글: 문방장궤(文房掌櫃) 어떤 사람이 어떤 일에 처하면 모두 자신이 처한 지위를 분명히 해야 한다. 주(主)인지 객(客)인지. 예를 들어 주군의 앞에서 신하는 영원히 객의 지위이다. 절대로 주군의 앞에서 자신의 재능을 자랑해서는 안된다. 특히 다른 사람이 있을 때에는. 삼국시대 양수(.. 2015. 1. 14.
관우는 왜 딸과 손권 아들의 결혼에 반대했는가? 글: 이치아(李治亞) 관우는 촉한명장이고 유비와는 형제와 같이 가까운 사이이다. 자료기록에 따르면, 관우에게 딸이 있었고, 손권은 사신을 보내어 아들과의 혼인을 청했다. 관우는 대노하여 말한다: "한마디 더 말하면 네 목을 자르겠다. 나의 호랑이딸이 어찌 개아들에게 시집보내겠는.. 2015. 1. 14.
유비의 아들은 왜 조조의 아들만 못했는가? 글: 진사황(秦四晃) '관료2세'를 얘기하자면 조조와 유비의 아들은 표준적인 '관료2세'인 셈이다. 유비의 친아들은 3명이다. 큰아들 유선(劉禪), 둘째아들 유영(劉永), 셋째아들 유리(劉理). 그러나 모두 인재로 성장하지는 못한다. 가장 유명한 사람은 '도와줘도 안되는' 아두-- 유선이다. 조.. 2015. 1. 13.
제갈량부자와 사마의부자의 차이점 글: 유려평(劉黎平) 삼국시대의 정치적 구도를 보면 기실 가족의 구도이다. 조(曹), 손(孫), 유(劉)이 대국면하에, 다시 다른 성씨의 국면이 있다: 예를 들어, 제갈가족, 육(陸)씨가족, 사마가족, 가(賈)씨가족등등. 그중 제갈가족은 세 국가의 경영진에서 모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 2015.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