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징22

당나라 최초의 태자 이건성(李建成)의 진실한 모습은 이렇다. 글: 장세과(張世科) 옛날 사서를 보면 당나라의 첫번째 태자인 이건성의 이미지가상당히 부정적이다. 그는 음험하고 간사할 뿐아니라 호색하고 공을 탐한다. 학문이나 재주도 없으며 마음은 좁은 부잣잡 망나니아들의 이미지이다. 그러나, 진실한 이건성은 어떠했을까? 많은 사료를 보면.. 2013. 4. 29.
진후주(陳後主)와 장려화(張麗華): 홍안화수(紅顔禍水)인가?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세상사람들은 모두 남조(南朝) 진(陳)나라의 귀비(貴妃) 장려화는 진나라를 망하게 만든 홍안화수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진후주가 만든 궁정가무곡인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는 망국지곡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만당시인 두목(杜牧)은 유명한 <박진회>.. 2013. 3. 13.
당태종의 세 번에 걸친 도화운(桃花運) 글: 정계진(丁啓陣) 당태종이 대신들과 치국의 도리를 논한 책인 <정관정요(貞觀政要)>를 보면, 당태종 이세민에게 닥친 세 번의 도화운을 기록하고 있다. 첫번째 도화운은 정관원년(627)에 발생한다. 유주도독우령군, 여강왕 원(瑗)이 모반으로 주살된 후, 그의 총희(寵姬)를 궁.. 2012. 1. 17.
당나라때 고관들은 왜 가난뱅이행세를 했는가? 글: 지백수흑(知白守黑) 당나라때의 공무원 수입은 적다고 할 수 없었다. 급여 이외에도 윤필비(潤筆費), 하사금등 가외수입이 있었다. 이 정도면 먹고입는데 걱정할 것은 없었다. 백거이, 왕유처럼 착실하게 이삼십년 공무원으로 일하게 되면 그럴듯한 부동산을 가지는 것은 아주.. 2011. 12. 6.
당태종은 왜 위징의 묘비를 부수었다가 다시 세웠는가? 글: 유병광(劉秉光) 당태종(唐太宗)과 위징(魏徵)은 지금까지 현군직신(賢君直臣, 현명한 군주와 직언하는 신하)의 모범으로 얘기되었다. 위징이 살아있을 때에는 당태종이 그를 '거울'로 생각했고, 적극적으로 나서서 사돈관계를 맺었다. 위징이 죽었을 때, 당태종은 5일간이나 조회를 열지 않고, 친필.. 2008. 12. 6.
명청(明淸)의 신하들은 어떻게 황제를 욕하였는가? 글: 군랑합작(群狼合作) 중국역사상 황제는 신권(神權), 황권(皇權), 족권(族權)을 한 몸에 가지고 있었고, 군주에 대하여 충성을 하는 것(忠君)은 최고의 정치원칙이자 도덕기준이었다. 공공장소에서 황제에 대하여 대불경(大不敬)을 저지르는 것은 사죄(死罪) 즉, 죽음을 당할 큰 죄였다. .. 2008.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