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장세과(張世科)
옛날 사서를 보면 당나라의 첫번째 태자인 이건성의 이미지가상당히 부정적이다. 그는 음험하고 간사할 뿐아니라 호색하고 공을 탐한다. 학문이나 재주도 없으며 마음은 좁은 부잣잡 망나니아들의 이미지이다. 그러나, 진실한 이건성은 어떠했을까? 많은 사료를 보면, 이건성은 궁중정변의 실패자이기는 하지만 그는 무능하고 평범한 자는 아니었다. 동생 이세민과 마찬가지로, 이건성은 부친 이연의 오른팔 왼팔이었으 뿐아니라, 반수흥당(反隋興唐) 전쟁에서 중요한 조직자이고 대당왕조건립의 중요한 공신중 하나이다.
이건성이 반수활동의 중요한 조직자중 하나라고 말하는 것은 이연이 태원에서 거병하기 전에, 모두 두 개의 기지가 있었는데, 하나는 태원으로 이연과 이세민이 동동으로 건설했다. 다른 하나는 하동(河東)으로 이건성이 단독으로 건설했다. 하동은 중요한 군사요지이고, 관중으로 통하는 전략요충지이다. 이연이 거병하기 전에, 이건성은 가족을 보살핀다는 명목으로 암중에 하동의 각로 영웅호걸들과 연락하였다. 이건성은 부친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현지에서 모든 재산을 털어 백성을 구제했고, 인재를 끌어모았으며 각로의 영웅호걸들과 널리 사귀었다. 한가지라도 재능이 있는 사람이면 그는 예의로 대하고, 진심으로 교류했다. 그리하여 하동의 인재들이 속속 그에게 투신한다. 이연은 이건성의 업무능력에 아주 만족한다. 이건성이 태원으로 가서 거병에 참가할 때 그는 즉시 이건성에게 군대를 지휘하는 중임을 맡긴다.
이건성은 또한 흥당군사투쟁의 주요한 조직자이며 지휘자이다. 태원거병에서부터 당조건립까지, 이건성은 좌군통수로 시종일관 군대를 지휘한 주장(主將)이다. 이연의 반수전쟁은 먼저 서하(西河)에서 총성을 울린다. 서하는 태원과 가깝고, 당군이 관중으로 들어가는 첫번째 관문이다. 이연은 서하전투를 아주 중시했다. 그 승리여부는 자신의 패엽성패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그는 이 중요한 임무를 이건성과 이세민 형제에게 맡긴다. 군대의 전투력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신속히 서하를 탈취하여야 한다. 전투전에 이건성은 주도면밀하게 배치하고 엄격한 군기를 제정한다. 그리고 친히 서하의 지형을 관찰한다. 그리고 장병들과 고난과 기쁨을 함께 했다. 그의 행위는 당나라군대의 사기를 많이 끌어올렸다. 모두 용감하게 적과 싸워서 9일만에 서하를 함락시킨다. 이건성은 이로 인하여 농서공이 되고 좌영군대도독에 오른다.
어떤 사학가는 거병의 기치를 든 때로부터 경사를 함락시킬 때까지, 이건성과 이세민의 공적은 대체로 비슷하다고 본다. 이것은 비교적 실제에 부합하는 판단일 것이다. 예를 들어, 서하의 함락은 두 사람이 합작한 것이다. 경사의 함락은 이건성의 부대가 먼저 져들어갔다. 장안을 포위공격할 때, 처음 성벽을 공격한 장병 뇌영길(雷永吉)은 바로 이건성의 부하이다. 이건성은 전쟁초기 즉 장안을 점령할 때(장안의 전략지위는 당시 나중에 이세민이 함락시킨 낙양에 못지 않았고, 오히려 더욱 중요했다), 당군의 명성은 크게 떨쳐진다. 그리하여 여러 할거역량중 가장 중원을 차지할 희망이 있는 세력이 된다. 촉의 땅에 있는 세력도 부득이 당에 귀의한다.
당나라의 통일전쟁에서 마지막 장애는 유흑달(劉黑闥)이었다. 유흑달은 일찌기 두건덕(竇建德)의 부장이었다. 무덕4년 칠월 하북에서 거병하여 이연에 항거한다. 이연은 전후로 이세민과 이원길을 보내어 토벌하려 하였으나, 잠시 군사적인 승리는 거두었지만, 이세민과 이원길 두 사람이 전후에 현지에서 '현민처사(懸民處死)'의 고압적인 정책을 씀에 따라 민심이 안정되지 못하고 많은 후환을 남겼다. 무덕5년, 유흑달은 다시 거병하고, 기세가 대단했다. 금방 옛 땅을 모두 탈취한다. 이건성은 위징, 왕규의 건의하에, 토벌을 자청한다. 그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수나라말의 전란을 겪은 많은 인민들은 평화통일의 사회환경과 안정된 생활을 갈망하고 있다는 것을. 그래서 모사 위징의 건의를 받아들여이전의 고압적인 정책을 고쳐서 현지백성을 다독그린다. 그 결과 유흑달의 부대는 금방 와해된다. 유흑달 본인도 당나라군에 생포된다. 그후, 이건성은 무덕5년, 6년과 7년 여러번 성공적으로 돌궐을 방어한다. 이들 전쟁이 승리는 당나라초기의 사회안정에 견실한 기초를 세운다.
객관적으로 말해서, 이건성은 이세민만큼 전투에 참가를 많이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것이 그의 잘못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건성은 태자이므로, 황제를 도와서 많은 정무를 처리해야 했다. 그래서 자주 병력을 이끌고 출정하고, 전쟁터를 누빌 수 없었다. 그래서 전공이 이세민만큼 혁혁하지 않았다. 다만, 이건성은 당군을 위하여 공고하고 믿을만한 근거지를 건립했고, 유력하게 전선의 작전을 지원했다 .이것도 다툼없는 사실이다. 어떤 의미에서, 이건성의 정치실력과 정치영향은 당시에 이세민보다 훨씬 컸다. 특히 이건성은 장안지구에서 거대한 성공을 거둔다. 이것은 더더욱 이세민이 절대로 따르지 못할 것이다. 사실상, 이건성은 인간관계가 괜찮은 사람이다. 그는 사람을 관후하게 대했을 뿐아니라, 아랫사람을 예의로 대했다. 그리하여 많은 재주있는 사람들 위징, 왕규등이 모두 기꺼이 그를 위하여 일한 것이다.
사서의 기록중 가장 믿기 어려운 것은 소위 이건성의 "음란후궁"이다. 역사서에 따르면, 이세민은 무덕9년 고조에게 "건성, 원길이 음란후궁했다"고 밀고한다. 그러나 성왕패구(成王敗寇). 즉 이기면 왕이고 지면 도적이다. 역사는 항상 성공자가 쓰는 것이다. 이건성이 정말 '음란후궁'하였는지에 대하여 송나라때 학자인 사마광은 이의를 나타냈다. 이 일은 "궁금심지(宮禁深地), 막능명야(莫能明也)"라고 하였다.
기실, 윤비(尹妃), 장비(張妃)의 두 비가 당고조의 앞에서 이건성에게 좋은 말을 해준 것은 그녀들 두 사람의 친척이 모두 동궁에 일자리를 가지고 있어, 이건성의 보살핌을 잘 받고 있기 때문이다. 하물며 그녀들은 모두 진왕 이세민과 깊은 갈등이 있었고, 그녀들은 이세민을 미워했다. 이것은 다툼없는 사실이다. 봉건사관들이 이건성과 당고조 비빈들의 특수한 관계를 대거 떠든 것은 이건성이 조정에서 정치적으로 의지할 곳이 없는 고독한 사람이라는 것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단지 부정당한 수단으로 후궁에서 정치적인 의지처를 찾으려 했다는 것이다. 누가 알았으랴 과장과 허구의 방식으로 한 사람을 평하하는 것은 마음씀씀이는 대단하지만, 세심한 독자라면 분명히 그 헛점을 눈치챌 것이다.
정사는 대부분 승리자가 쓴다. 그래서 가능한한 승리자를 잘 포장하려 한다. '현무문의 변'에서 이세민은 최종의 승리자이다. 그래서 그의 사관 방현령등이 쓴 <고조실록>, <태종실록>은 '억건성양세민(抑建成揚世民)'의 경향을 벗어나기 힘들었다. 우리는 오늘 당나라츼 최초 태자 이건성의 진실한 면복을 복원해 보았다. 이것은 고의로 당태종 이세민의 빛나는 이미지를 폄훼하려는 것이 아니라, 이런 사실을 얘기해주고 싶은 것이다: 천년이 역사에서 각왕조이 사관은 모두 사마천이 아니다; 호호탕탕한 오쳔년 역사의 진면목을 보는 것은 아주 어렵다. 우리가 접촉한 소위 '정사(正史)'는 많은 부분이 '정사(正寫)'하지 않았다.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 > 역사인물 (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무(姜撫): 당나라의 사기꾼 (0) | 2013.08.05 |
---|---|
당선종(唐宣宗)의 세 가지 얼굴 (0) | 2013.05.03 |
태평공주는 왜 2번이나 출가(出家)했는가? (0) | 2013.04.27 |
침묵은 일종의 인생선택이다 (0) | 2013.04.27 |
당고조 이연은 어떻게 황제에 올랐는가? (0) | 201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