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징22

관료사회 철칙: 신군불용구신(新君不用舊臣) 글: 풍현일(馮玄一) 이세민이 즉위한 후, 소우(蕭瑀)의 운명은 곡절을 겪기 시작한다. 이세민시대에 소우는 "삼기삼락(三起三落)"을 겪는다. 제1차, 정관원년 십이월에 발생한다. 이세민이 새로 즉위하고 비록 소우를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 임용하지만, 방현령(房玄齡), 두여회(杜如晦).. 2017. 7. 21.
의화단(義和團)사건을 되돌아본다 (1) - 서방열강 글: 유앙(劉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 것을 익혀서 새 것을 안다. 옛것은 새것의 스승이 될 수 있다." 당태종은 위징이 사망하자 이렇게 탄식했다: "구리로 거울을 만들면 의관을 바로잡을 수 있고, 사람은 거울로 삼으면 득실을 알 수 있다. 역사를 거울로 삼으면 흥망성쇠를 알 수 있.. 2016. 2. 25.
당태종의 수면제 글: 고학(孤鶴) 당나라역사를 조금만 아는 사람이라면, 모두 알고 있을 것이다. 당고조 이연이 아직 살아있을 때, 진왕 이세민은 황궁의 북문 '현무문' 앞에서 태자 이건성과 제왕 이원길을 죽였다. 이세민이 오랫동안 음모를 꾸몄던 아니든 결과는 모두 두 경쟁적수를 죽인 것이다. 그후.. 2014. 10. 2.
대당왕조 관료사회 몰락의 역사적 교훈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정관(貞觀)연간에 웅재대략(雄才大略)의 당태종 이세민은 방현령(房玄齡), 두여회(杜如晦), 위징(魏徵)등 명신의 보좌를 받아 정간(精幹), 염결(廉潔), 고효(高效)의 정부시스템을 만들었다. 정간초기의 기구 간소화를 통하여, 경관(京官)은 원래의 2천여명에서 643명.. 2014. 1. 15.
위징: 6번이나 주군을 바꾼 특이한 충신인생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위징을 얘기하면 일반사람들은 모두 당태종 이세민의 수하로 감히 범안직간(犯顔直諫)한 충신미여, 당태종의 거울이라고 알고 있다. 일반인이 그를 알고 있는 것은 그가 진실을 감히 얘기한 이야기가 민간에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인들이 잘 알.. 2013. 11. 25.
수양제 양광의 딸들 작자: 미상 양광에게 몇 명의 딸이 있었을까? 아무도 확실히 헤아릴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일찌기 양광과 형 양용이 태자의 지위를 놓고 다툴 때, 첩을 두는 것을 아주 싫어하던 모친 독고황후에게 잘보이기 위하여, 첩실이 낳은 자식은 모조리 기르지 않았다; 양광이 등극한 후, 장안.. 2013.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