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비60 중국역사상 문인과 무장의 숙명 글: 운중군(雲中君) 도연명은 행택현령의 자리에서 자리를 박차고 떠났다. 그리고 채국귀은(採菊歸隱)의 길을 선택한다; 시선 이백은 재주가 넘쳤고, 원대한 포부가 있었으며, 인구에 회자되는 많은 시가를 남긴다. 관료로서는 뜻을 펼치지 못했고, 최종적으로 고향으로 돌아가게 된다. .. 2013. 11. 16. 악가군의 전투력은 금나라를 이기기에는 많이 부족했다. 글: 복녕객(福寧客) 1142년초의 한겨울, 송나라장수 악비는 풍파정에서 죽임을 당한다. 이 비극은 그 본인을 한민족주의의 고도상징중 하나가 되게 만들었고, 사후에 관우에 바로 다음가는 전신의 지위를 얻게 된다. 그리고 충신간신의 대립투쟁이라는 깨지지 않는 신화를 만든다. 이것은 .. 2013. 11. 10. 대의각미록(大義覺迷錄): 역사상 궁정내막을 가장 많이 폭로한 기서 글: 유계흥(劉繼興) 청나라 옹정7년(1729년), 옹정제는 증정(曾靜) 반청사건으로 <대의각미록>이라는 책을 간행한다. 책은 4권(卷)으로 되어 있으며 옹정제가 흠정편찬한다. 그 안에는 옹정황제 본인의 10건의 상유(十道上諭), 심문기록과 증정의 진술 47편, 장희등의 진술 2편, 그리고 뒤.. 2013. 11. 10. 악비의 진실한 모습은? 글: 대련일보 2억위안을 투자하고, 가장 역사적 사실에 부합한다고 말하는 대형역사드라마 <정충악비(精忠岳飛)>가 4대 위성TV에서 인기리에 첫방영된 후, 시청율은 아주 높았다. 대형스타들의 출연, 뛰어난 제작이 원인일 것이다. 그러나 거대한 역사와 많은 인물들의 이야기가 사람.. 2013. 8. 15. 악비(岳飛)는 어떻게 죽었는가? 글: 악효림(岳曉林) 소흥11년(1142년) 1월 27일, 설날 전날, 민족영웅 악비는 간신 진회(秦檜)의 "막수유(莫須有)"의 죄명으로 처결된다. 이에 대하여, <송사.권365.악비전>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세모(歲暮), 옥부성(獄不成), 회수서소지부옥(檜手書小紙付獄), 즉보비사(卽報飛死), 시.. 2013. 8. 5. 대명황실의 후예는 청나라의 귀족이 되었다 글: 재릉(梓凌) 명태조 주원장의 후손은 명나라가 멸망한 후에도 단절되지 않고, 명나라멸망후 300년간 귀족의 신분으로 중화대지에서 생활앴으며, 여전히 영광을 누렸다. 제1대 한군후(漢軍侯) 주지련(朱之璉, ? - 1730)은 자가 상옥(商玉), 호는 창암(蒼巖)이며, 안휘 봉양 사람이다. 명태조.. 2013. 5. 1.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