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양제67

[황자쟁위술] 여인노선술(女人路線術) 파결총희패(巴結寵姬牌) 이건성편 이건성, 이세민, 이원길 형제는 부친인 당고조 이연의 영도하에 힘을 합쳐서 천하를 얻는데 성공한다. 그 후에는 형제들간에 대당천자를 누가 차지하느냐를 놓고 다투게 된다. 이들은 모두 부친 당고조 이연이 총애하는 여인의 말이라면 잘 들어준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 이연이 총애하.. 2015. 10. 11.
[황자쟁위술] 양장피단술(揚長避短術) – 홍인시효패(弘仁示孝牌) : 조비편 황위후보자가 효자인지여부는 “효치천하(孝治天下)”의 중국고대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되었다. 그리하여, 후보자들인 황자들 간에는 자신의 효성을 드러내어 점수를 따려는 활동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황제에 오를 수 있었던 사람으로는 조조(曹操)의 아들 조비(曹丕), 수문제 양견.. 2015. 7. 27.
[황자쟁위술] 교식위현술(矯飾僞賢術) - 불근여색패(不近女色牌) 황태자에서 쫓겨나는 이유이자, 다른 황자들의 공격을 받는 이유중의 하나로 '호색(好色)'이 있다. 황제가 된 후에는 삼궁육원칠십이비(三宮六院七十二妃)를 거느릴 수 있고, 당현종 이융기는 "궁빈이 개략 4만에 이르렀다"는 역사기록도 있을 정도로수많은 처첩을 거느리는 것은 역대황.. 2015. 7. 27.
유문정(劉文靜) vs 배적(裴寂): 당나라초기 권신간의 권력다툼 글: 종승호(宗承灝) 수나라 말기, 당국공(唐國公) 이연(李淵)은 태원(太原)의 최고군사 및 행정장관을 맡고 있었다. 바로 이 때, 그는 배적과 유문정을 알게 된다. 배적은 당시에 조정이 지방에 파견한 재무주관이었고, 주로 물자조달업무를 맡아서 실권이 있었다. 이연은 사람을 아주 잘 .. 2015. 6. 16.
수당(隋唐)의 4명의 황제는 왜 고구려를 정복하고자 했는가? 글: 천행건(天行健) 고구려를 신복(臣服)시키지 못한 것은 이세민의 일생에서 최대의 유감이었다. 심지어 그는 죽기 전에, 어떻게 고구려를 정복할 것인지를 계획하기도 했다. 사학계의 많은 사람들은 이세민이 고구려에 대한 정복전쟁을 벌인 것은 그의 인생에서 최대의 실패작이라고 .. 2015. 2. 10.
당태종이 수양제의 처와 딸을 모두 취하였는가? 글: 문방장궤(文房掌櫃) 수나라 개황2년 즉 582년, 13살의 양광은 12살된 소비(蕭妃)와 결혼한다. 소비는 할거정권 소규(蕭巋)의 넷째딸이다. 그러나, 생진팔자가 좋지 않아서 궁밖으로 버려져서 길러진다. 이 예쁜 소씨 넷째딸은 몸은 아가씨이나 운명은 종인 셈이다. 먼저 민간에서 형.. 2015.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