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양제67

당나라의 후궁관리제도 글: 문사열독(文史悅讀) 이런 말이 있다. 후궁분대삼천(後宮粉黛三千). 실제로, 역대후궁의 궁녀의 인원수는 이 숫자를 훨씬 뛰어넘었다. <수서>에 땨르면 수양제때 궁녀의 수는 십만에 이르렀다고 한다. 당나라가 건립된 후 초기에는 국력이 약하며, 인심을 다독이고, 비용을 줄.. 2014. 2. 10.
수양제의 최후 글: 김만루(金滿樓) 2013년 4월, 양주 한장구(邗江區) 서호진 사도촌 조장(曹莊)에서 수양제의 능침으로 추정되는 고묘를 발견했다. 반년여의 반복논증을 거쳐, 국가문물국과 중국고고학회의 권위있는 전문가는 11월 16일 소집된 감정결과기자회견에서 이렇게 말했다. 묘장의 형제, 묘내.. 2013. 11. 27.
중국의 황제들은 왜 거짓조공(假朝貢)에 미련을 버리지 못했는가? 글: 정만군(程萬軍) 각 왕조의 사서기록을 보면, 중국황제가 가장 득의양양해하고 가장 영광스럽게 생각하는 한 마디는 개략 이렇다: "팔방내공(八方來貢), 만국내조(萬國來朝)", 설사 망국의 군주라 하더라도 이 분야에는 신경을 많이 썼다. 예를 들어 수나라의 망국지군 수양제 양광은 재.. 2013. 11. 24.
주원장은 왜 원순제를 도망치도록 놔두었는가? 글: 유려평(劉黎平) 원순제(元順帝)가 도망칠 수 있었던 것은 하나의 수수께끼였다. 일찌기 1368년 칠월, 서달(徐達)의 북벌군은 하북 통주(通州)에 도착한다. 원왕조의 도성에 하루이틀이면 도달할 수 있는 거리였다. 그러나, 기괴하게도, 북벌군사통령 서달은 통주에서 아무 것도 하지 않.. 2013. 8. 15.
수양제능묘: 가장 보잘 것없는 황제릉 출처: 북경일보 2013. 4.16 2013년 4월 14일 오후, 양저우(揚州)시 문물국은 기자회견을 열어, 한장구(邗江區)에서 발견된 두 개의 묘장중 이미 발굴된 하나가 수양제릉이라고 선포했다. 이 고묘에서 발굴된 묘지(墓誌)에는 "수고양제묘지(隋故煬帝墓誌)"라고 적혀 있었다. 명문상 기록된 시.. 2013. 8. 15.
수양제 양광의 딸들 작자: 미상 양광에게 몇 명의 딸이 있었을까? 아무도 확실히 헤아릴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일찌기 양광과 형 양용이 태자의 지위를 놓고 다툴 때, 첩을 두는 것을 아주 싫어하던 모친 독고황후에게 잘보이기 위하여, 첩실이 낳은 자식은 모조리 기르지 않았다; 양광이 등극한 후, 장안.. 2013.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