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태종35 침묵은 일종의 인생선택이다 글: 왕립군(王立群) 태평흥국4년 오월, 여러달의 전투를 거쳐, 오대십국(五代十國)중 마지막 할거정권인 북한(北漢)정권이 송나라의 판도에 편입되었다. 주세종, 송태조의 여러번에 걸친 정벌에도 함락시키지 못했던 태원(太原)이 송태종에 의해 마침내 함락된 것이다. 그는 북한을 지도.. 2013. 4. 27. 송태조는 왜 아들이 아닌 동생에게 황위를 넘겼는가 글: 역사상나사사(歷史上那些事) 태평흥국4년(979년) 송태종(宋太宗) 조광의(趙光義)는 북한(北漢)을 평정한 후 친히 군대를 이끌고 요(遼)나라를 정벌하러 가지만 불행히도 대패하고 만다. 그래서 조정으로 돌아온 후 북한을 평정한 공신들은 모두 작위나 상을 받지 못한다. 송태조(宋太祖.. 2012. 8. 15. 남당(南唐): 독살의 역사 글: 축희(祝熹) 중국 형명(刑名)의 시조는 하우시대의 고요(皋陶)이다. 그가 만든 "오형(五刑)"은 사건을 재판하면서 형벌을 가하는 근거가 되었다. 그러나, 전통사회에서 법외지형(法外之刑)은 항상 존재했다. 명망이 높은 사람을 죽여야겠는데 형법에 저촉되지 않거나, 궁중의 음모로 적.. 2012. 7. 6. 소태후는 어떻게 국내외를 다스렸는가? 글: 장계합(張繼合) 어떤 여자가 대시인 볼테르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여인이 연약함으로 자신을 무장할 때 가장 강하다." 이 말은 요나라의 '여황'과 같은 인물로 대권을 장악했던 소태후, 소작의 생각과 일치한다. 여성의 아름다운 눈물은 쉽게 남자들로 하여금 눈앞의 상황을 제.. 2012. 6. 3. 양신(楊信)의 "사(詐)"와 조한(曹翰)의 "괴(乖)" 글: 안건회(晏建懷) 양신과 조한은 같은 점이 너무 많다. 나이도 비슷하고, 경력도 비슷하며, 최후도 비슷하다. 그들은 모두 군전소졸(軍前小卒) 출신으로 후주(後周)때 아교(牙校)와 같은 하급장교를 지냈다. 그리고 둘 다 송태조 조광윤 및 송태종 조광의를 따라서 전투에 참가한다. 모두.. 2012. 3. 28. 상해박물관 송휘종 <천자문(千字文)>의 진위 글: 배광휘(裴光輝) 일전에 송휘종 조길(趙佶)의 수금체(瘦金體) <천자문(千字文)>의 서예작품이 선전(深圳)의 모 경매회사에서 1.4억위안의 고가로 낙찰되었다. 이 일이 일어나자, 업계는 난리가 난다. 상해박물관 서화부의 주임 샨궈린(單國霖)은 개자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한다. .. 2012. 2. 28.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