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사27 송영종(宋英宗) 조서(趙曙): 비빈을 두지 않은 황제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후궁 비빈이 3천에 이르는 황제는 아주 많다. 그러나, 비빈을 두지 않은 황제는 보기 힘들다. 역사자료를 뒤져보면 이렇게 비빈을 두지 않은 황제를 찾아볼 수 있다. 그는 바로 송영종 조서이다. 송영종 조서와 황후 고씨(高氏)는 청매죽마(靑梅竹馬)의 서로 사랑하.. 2017. 10. 30. 도시안(盜屍案): 청나라의 기인 남정원(藍鼎元)의 사건해결 글: 호연운(呼延雲) 청나라 옹정(雍正) 5년(1727년) 칠월 십삼일, 남정원이라는 사람이 광동성 보녕현(普寧縣)의 관아로 들어섰다. 남정원은 청나라때의 기인(奇人)이다. 그의 일생은 기구했다. 비록 경세의 재주를 지녔지만, 과거에 계속 낙방했고, 오랫동안 다른 사람의 막료로 지냈다. 47.. 2017. 6. 29. 중국인의 4단계 심미관(審美觀) 작자: 미상 마미도(馬未都) 선생이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중국인의 심미관에는 4가지 단계가 있는데, 피라미드형을 이룬다고. 가장 낮은 단계는 "염속(艶俗)"이다. 예를 들어, 장예모가 찍은 <영웅>이라든지, 풍소강이 찍은 <야연>이라든지, 농촌의 대화포상단(大花布床單), 유행.. 2017. 4. 7. 송(宋) 요(遼)간의 4대전투 글: 장효민(張曉珉) <요사(遼史)>의 기록에 따르면, 짧은 13일내에 송나라와 요나라간에는 4번의 전투가 벌어졌다. 이 4번의 전투결과에 대하여 <요사>에는 역사책이 영원히 기록하고 있지만, <송사>에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송,요의 제1차대전은 십일월 초하루에 발생한.. 2016. 8. 6. 중국고대에 "상방보검(尙方寶劍)"이 존재했는가? 글: 생활문적(生活文摘) 어떤 TV드라마를 보면 우리는 자주 '상방보검'에 대하 묘사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청천>에 나오는 포공(包公)은 상방보검을 갖고 있다. 중국역사상 정말 상방보검이 존재했을까? 이 문제는 중국의 진한(秦漢)시대부터 얘기를 시작해야 한다. "상방(尙方)".. 2015. 3. 2. 악비의 "직도황룡(直搗黃龍)"에 대한 새로운 해석 글:오조양(吳朝陽) 모두 알다시피 "직도황룡"은 악비의 입에서 나왔다. 악비는 "곧바로 황룡부로 가서 금나라를 멸망시키고 이성(二聖,송휘종과 송흠종)을 모셔오겠다"(<설악전전>에서 인용)는 웅심장지를 드러냈다. 이 성어의 근원중 하나는 <송사.악비전>에서 나왔다.거기의 원.. 2015. 2. 16.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