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사27 소동파(蘇東坡)의 접연화(蝶戀花) 화퇴잔홍청행소(花褪殘紅靑杏小) 연자비시(燕子飛時) 녹수인가요(綠水人家繞) 지상유면취우소(枝上有綿吹又少) 천애하처무방초(天涯何處無芳草) 장리추천장외도(墻裏秋韆墻外道) 장외행인(墻外行人) 장리가인소(墻裏佳人笑) 소점불문성점소(笑漸不聞聲漸소[心+肖]) 다정각피무정뇌(多情却被無情惱.. 2005. 7. 23. 임포(林逋)의 장상사(長相思) 오산청, 월산청 (吳山靑, 越山靑) 양안청산상송영 (兩岸靑山相送迎) 수지이별정 (誰知離別情) 군루영(君淚盈) 첩루영(妾淚盈) 라대동심결미성 (羅帶同心結未成) 강두조이평 (江頭潮已平) 오산도 푸르고, 월산도 푸르네 양안의 푸른산이 서로 보내고 맞이하는데, 누구라서 이별의 정을 알 것인가 그대 .. 2005. 7. 10. 신기질(辛棄疾)의 추노아(醜奴兒) 신기질의 추노아에는 "서박산도중벽(書博山道中壁, 박산도 중벽에 쓰다)"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소년불식수자미(少年不識愁滋味) 애상층루, 애상층루(愛上層樓, 愛上層樓) 위부신사강설수(爲賦新辭强說愁) 이금식진수자미(而今盡識愁滋味) 욕설환휴, 욕설환휴(慾說還休, 慾說還休) 각도천량호개.. 2005. 7. 10.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