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송사27

배주석병권(杯酒釋兵權): 조광윤이 무장들에게 부패허가증을 준 것이다. 글: 정수위(丁守衛) 언뜻 보면, 조광윤의 "배주석병권"은 아주 시원스럽고, 가벼우며, 사람들에게 "담소간(談笑間), 장로회비연멸(檣櫓滅飛煙灰)"한 것같은 느낌이고, 전혀 심을 들이지 않았으며, 수단이 뛰어난 조광윤은 원래 아주 골치아픈 이 일을 쉽게 처리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 2014. 5. 29.
송인종의 아량(雅量)과 인서(仁恕) 글: 우운국(虞雲國) 송인종은 42년간 재위한 송나라에서 재위기간이 가장 긴 황제이다. 중국황제중에서 공정하게 애기하자면, 그는 분발유위의 영주도 아니고, 심지어 명성이 탁월한 명군도 아니다. 다만 그의 최대 장점은 바로 관용인후(寬容仁厚)하다는 점이다. 그는 각종 격렬한 비평.. 2014. 1. 14.
악비(岳飛)는 어떻게 죽었는가? 글: 악효림(岳曉林) 소흥11년(1142년) 1월 27일, 설날 전날, 민족영웅 악비는 간신 진회(秦檜)의 "막수유(莫須有)"의 죄명으로 처결된다. 이에 대하여, <송사.권365.악비전>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세모(歲暮), 옥부성(獄不成), 회수서소지부옥(檜手書小紙付獄), 즉보비사(卽報飛死), 시.. 2013. 8. 5.
송영종(宋英宗)은 어떻게 죽었는가? 글: 조염(趙炎) 황제로서 송영종 조서(趙曙)는 행운아였다. 대외적으로, 그의 양부인 송인종은 그를 위하여 좋은 외교적 국면을 물려주었다. 요나라와는 왕래가 잦았고, 서하와도 평화공존하고 있었다. 필자가 통계를 내봤더니, 짧은 4년동안 요나라와 서로 사신을 주고받은 것이 6번에 이.. 2013. 4. 13.
조여림(曹汝霖): 중국의 제1호 변호사 글: 유전(劉典) "천명의 눈에는 천명이 햄릿이 있다" 역사는 바로 이러한 다원적 사고로 넘쳐나며, 이것이 바로 역사의 매력이다. 역사교과서를 보면, 조여림은 "이십일조"을 체결하여 매국노로 낙인찍혔다. 여러 역사서적에서 그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는 확실히 민국.. 2012. 12. 22.
서하(西夏)개국황제는 왜 3가지 성(姓)을 가졌는가? 글: 몽광정우(夢光情雨) 11세기초인 1004년, 송,요 두 나라는 유명한 '전연지맹"을 맺는다. 당말의 '안사의 난'이후 계속하여 전란이 끊이지 않았던 중국의 북방지역에 드디어 평화의 기운이 돌게 된 것이다. 중원을 점거한 북송왕조는 태평성대를 누렸고, 모든 것은 완벽했다. 더 이상 재난.. 2012.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