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국연의127

삼국시대의 '최강두뇌' 글: 성건(成健) 요즘 TV프로그램 <최강두뇌>를 보았는데, 천부적인 재능을 지닌 달인들이 적지 않게 나온다. 필자는 최근 들어 <삼국연의>를 다시 읽어보았는데, 이 프로그램의 영향을 받아 거기에서 발군의 인물들을 추려서 만일 최강두뇌의 팀을 만든다면, 그 진용은 진고작금(.. 2014. 5. 30.
<삼국연의>는 "존유폄조(尊劉貶曹)"인가? 글: 조종국(曹宗國) 역대이래로 논자들은 &lt;삼국연의&gt;에 '존유폄조'의 경향이 있다고 말해왔다. 필자는 기실 이것은 나관중을 오해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관중은 확실히 유씨 한왕조의 정통관념을 떠받들었다. 다만 유비를 정통이라고 보지는 않았다. 오히려 가짜정통의 전형으로 .. 2014. 5. 30.
제갈량은 싸움을 잘 했을까? 글: 조종국(曹宗國) 현재의 여론은 일방적으로 제갈량이 싸움은 잘 못했다는 것이다. 첫째는 &lt;삼국연의&gt;에서 그를 너무나 신격화해서, &lt;삼국지&gt;와의 차이가 아주 크고, 둘째는 일부 사학자 특히 모택동, 속유와 같은 군사가들이 모두 그에 대하여 이렇게 평가했기 때문이다. 그러.. 2014. 5. 29.
중국전통문화의 변증법적 사고 글: 축화군(祝和軍) 민족문화의 독특성과 우월성은 드러나는 세계관과 가치관에서 체현될 뿐아니라, 숨어있는 사고방식에도 뿌리박고 있다. 인류문명의 진전에서, 중화문명이 인류고대문명중 유일하게 지금까지 연속되는 문명이 된 이유는 많은 정도에서 중국인의 문제사고의 방식과 .. 2014. 4. 29.
사서에서 전위(典偉)는 여포(呂布)보다 용맹하다 글: 가동(佳桐) 나관중의 &lt;삼국연의&gt;에서 여포는 공인된 제일용장(第一勇將)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쨌든 소설이다. 그럼 사서에서는 어떨까? 당시에 더욱 용맹한 장수가 있었을까? 여포의 용맹함은 절대로 그냥 만들어낸 것이 아니다. &lt;삼국지&gt;의 작자인 진수(陳壽)는 이렇게 말했.. 2014. 4. 4.
사마의와 미꾸라지전술 글: 동호소주(東湖少主) 자연계의 어떤 현상은 음미할 만하다. 예를 들어, 미꾸라지(泥鰍)가 있다. 항상 보면서도 그 속을 알 수가 없다는 느낌이다. 중국고전문헌에서 '미꾸라지'는 '니어(泥魚)'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록 고대인들이 미꾸라지를 물고기류로 분류하기는 했지만, 이것은 물 .. 2014.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