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태종99

건문제(建文帝)는 정말 실종되었는가? 글: 종고관금(縱古觀今) 사료로 보면, 영락제 주체(朱棣)는 확실히 건문제(建文帝) 주윤문(朱允炆)을 찾아내지 못했다. 당시 황궁은 불이 붙었고, 궁전이 모조리 불타버렸으며, 주윤문의 시체도 찾아내질 못했다. 그리하여 일련의 전설이 나타난다. 어떤 사람은 주체가 후기에 계속하여 주윤문을 수색했다고 하고, 정화의 7차에 걸친 하서양(下西洋)까지도 모두 주윤문의 행방을 찾기 위한 활동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문제가 있다. 주체는 왜 요란하게 주윤문을 찾아다녔을까? 혹시 뭔가를 감추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었을까? 목적은 아주 간단하다. 세상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하기 위해서이다: 건문제는 내가 핍박해서 죽은 것이 아니고, 그는 아직 살아있다. 그저 민간에 도망쳤을 뿐이다. 그렇게 되면 시군살질(弑君殺侄)의 죄명을.. 2021. 1. 31.
이경업(李敬業)의 무측천(武則天) 토벌은 왜 용두사미(龍頭蛇尾)가 되었을까? 글: 엽서도(獵書徒) 이경업(636-684), 일명 서경업(徐敬業). 조주(曹州) 이호(離狐) (지금의 山東 荷澤) 사람. 당나라의 관리, 장수. 개국공신인 사공(司空) 이세적(李世積)의 손자. 재주자사(梓州刺史) 이진(李震)의 아들. 부친이 일찍 사망하였기 때문에, 직접 조부로부터 영국공(英國公)의 작위를 승계하였다. 무측천이 당중종을 폐위시켜 여릉왕(廬陵王)으로 격하시키고, 이단(李旦)을 황제로 세웠다. 그후 이단은 글을 올려 사임을 청하고, 무측천이 임조칭제(臨朝稱制)하게 된다. 684년 구월, 이경업은 동생 이경유(李敬猶), 당지기(唐之奇), 두구인(杜求仁), 낙빈왕(駱賓王)등과 함께 양주(揚州)에서 거병한다. 이경업은 스스로 광복부대장군(匡復府大將軍), 영양주대도독(領揚州大都督)을 칭하며, 근왕.. 2020. 4. 29.
현무문사변(玄武門事變) 전날 이세민의 진왕부(秦王府)에는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글: 섭시문사판(攝詩文史版) 현무문사변은 역사상 궁정권력투쟁의 대표적 사건이다. 그것은 당태종 이세민의 인생전환점이기도 하다. 이세민은 전쟁터에서 반평생을 보냈고, 여러번 강적을 격패시켜, 당나라건국에 큰 공을 세운다. 만일 현무문사변이 없었더라면, 그는 대당의 황위와 .. 2019. 12. 27.
궐특근비(闕特勤碑): 한어와 돌궐어로 전혀 다르게 쓰여진 비문 글: 천지사화군(天地史話君) 유라시아대륙의 북방대지에는 많은 유목민족이 활약했다. 서부는 흉노(匈奴)의 지계(支係)가 동부는 동호(東胡)의 지계가 있었다.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부락과 민족이 상호 융합하면서 전후로 흉노, 선비, 유연등의 민족이 흥기했다. 수당시기에, 돌궐인이 .. 2019. 2. 26.
고대의 시호(諡號)제도와 규칙 글: 배주품역사(杯酒品歷史) 중국에 이런 말이 있다: 개관정론(蓋棺定論)! 관두껑을 닫고나서 결론을 내린다. 그 의미는 한 사람이 살아있을 때에 대한 시비공과는 그가 사망한 후에야 비로소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래서 황제와 문무대신이 죽은 후에 조정은 그들에게 시호를 내린다. 1개의 글자로서 그의 일생을 개괄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호가 그냥 간단한 글자 1자는 아니다. 그 안에는 여러가지 의미가 담겨 있다. 통상 황제의 시호와 묘호는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청나라의 강희(康熙)황제는 우리가 그를 성조인황제(聖祖仁皇帝)라고 부른다. '성조'는 묘호(廟號)이고, '인(仁)'은 시호(諡號)이다. 황제에게 묘호를 올릴 때는 불문율이 있다. 조(祖)는 공(功)이 있어야 하고, 종(宗)은 덕(德).. 2019. 1. 8.
당고조의 총비(寵妃) 우문소의(宇文昭儀)는 현무문사변에 어떤 입장이었을까? 글: 상륭십팔장(祥隆十八章) 당고조 이연의 열한번째 아들인 이원가(李元嘉)는 유명한 현왕(賢王)이고, 이당종실 내에서 명성이 널리 퍼졌다. 곽왕(霍王) 이원궤(李元軌)보다 대단했다. 그리고 그가 어렸을 때, 생모인 우문소의때문에 그는 당고조 이연의 사랑을 많이 받고 자랐다. 언뜻 .. 2018. 8. 9.